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가구당 부채 6181만원…60세 이상 고령층 '빚 급증'

입력 2015-12-21 13:29

60세 이상·자영업자 부채 각 8.6%p 3.8%p 증가…취약계층 가장 늘어

가구당 평균 부채 50대·자영업자·소득 상위 20% 가장 많아

금융부채 61%, 거주주택 마련이나 사업자금에 사용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60세 이상·자영업자 부채 각 8.6%p 3.8%p 증가…취약계층 가장 늘어

가구당 평균 부채 50대·자영업자·소득 상위 20% 가장 많아

금융부채 61%, 거주주택 마련이나 사업자금에 사용

가구당 부채 6181만원…60세 이상 고령층 '빚 급증'


가구당 부채 6181만원…60세 이상 고령층 '빚 급증'


가구당 부채 6181만원…60세 이상 고령층 '빚 급증'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 규모가 6181만원으로 1년새 130만원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부채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가구당 평균 부채는 6181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2%p(130만원) 증가했다.

부채는 전체의 69.9%를 차지하는 금융부채(4321만원)가 4.9% 증가한 반면 임대보증금(30.1%)은 1860만원으로 3.7% 감소했다. 금융부채 중 담보대출(3540만원)과 신용대출(642만원)이 각각 4.9%, 5.0% 증가했다. 다만 부채를 보유한 가구비율은 64.3%로 1.6%p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주의 부채가 평균 4785만원으로 전년 대비 8.6%p 늘어나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노후 소득이 불안한 고령층이 생활비 마련 등을 위해 빚을 많이 늘렸다는 얘기다.

상대적으로 부채가 많은 40~49세 가구주의 부채도 7103만원으로 2.6%p 증가했다. 30세 미만(1506만원)과 30~39세(5323만원)도 각가 1.7%p와 1.3%p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전체 부채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50대는 7866만원으로 1.4%p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영업자 가구주의 부채(9392만원)가 전년대비 3.8%p 늘어 증가폭도 가장 컸다. 상용근로자가 6830만원으로 1.5%p 증가했고 기타(무직 등)는 3083만원으로 1.2%p 늘었다. 임시일용근로자는 2481만원으로 1.7%p 감소했다.

소득 분위별로는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4분위(상위 20~40%)의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소득 4분위 가구주의 부채는 7287만원으로 전년 대비 3.8%p 늘어났다. 이어 소득 5분위(상위 20%)는 1억4283만원으로 2.0%p 늘었고, 2분위(하위 20~40%)는 3413만원으로 1.4%p, 3분위(상위 40~60%)는 4642만원으로 1.2%p 순으로 증가했다. 소득 1분위(하위 20%)의 평균 부채는 1278만원으로 전년 대비 0.2%p 증가했다.

가구당 평균부채는 연령대별로는 50대(7866만원), 종사자지위로는 자영업자(9392만원), 소득 분위로는 5분위(1억4283만원) 가구가 가장 많았다.

전체 가구의 57.5%는 금융부채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의 경우 거주주택 마련 용도가 36.9%로 가장 많았고, 사업자금 마련도 24.1%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거주주택 이외의 부동산 마련(15.7%), 전·월세 보증금 마련(7.3%), 생활비 마련(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년 후 부채 전망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는 비중이 58.3%로 가장 많았고,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10.8%로 나타나 대부분 부정적으로 봤다. '감소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은 30.9%에 그쳤다.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0.1%로 전년에 비해 1.7%p 감소했다. 다만 상환 가능성과 관련해선 '대출 기한 내에 갚을 수 있다'는 비중은 절반이 넘는 66.2% 정도였다. '대출 기한이 지나 갚을 수 있다'는 비중은 26.8%로 나타났고,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비중도 7.1%를 차지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대출규제·미 금리인상 '한파'에 얼어붙는 부동산 시장 내년 공공기관 임금 3% 인상…간부직 5% 민간 개방 기재부 "가계·기업부채, 국내 경제 잠재적 취약요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