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박 대통령-아베, 취임 후 수차례 조우…첫 한·일 정상회담까지

입력 2015-10-28 16:0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박 대통령-아베, 취임 후 수차례 조우…첫 한·일 정상회담까지


박 대통령-아베, 취임 후 수차례 조우…첫 한·일 정상회담까지


박 대통령-아베, 취임 후 수차례 조우…첫 한·일 정상회담까지


박 대통령-아베, 취임 후 수차례 조우…첫 한·일 정상회담까지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다음달 2일 정상회담은 현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자 3년 6개월 만의 한·일 정상회담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2012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가 가진 것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상태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각각 2013년 2월, 2012년 12월 취임한 이후 한번도 정상회담을 갖지 않았다.

두 정상은 취임 후 각종 다자 정상회의를 통해 수차례 조우(遭遇)한 바 있지만 냉랭한 양국 관계를 반영하듯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지는 못했다. 얼굴을 마주하고도 말 한마디 주고 받지 않은 적도 여러번이다. 이번 서울에서의 만남에 이목이 집중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두 정상은 지난 2013년 3월6일 박 대통령의 취임을 기념한 10분 간의 전화통화를 통해 처음으로 대화를 나눴다. 아베 총리는 박 대통령의 취임에 대해 축하의 뜻을 전하면서 "자유와 민주주의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인 한·일 양국이 21세기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그러자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양국 관계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과거사 문제를 미래세대에 넘겨주지 않을 수 있도록 정치 지도자들이 결단을 내려 적극적으로 미래지향적 관계를 만들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독도나 위안부 등 양국간에 민감한 현안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아베 총리에게 직접적으로 과거사 이야기를 꺼낸 것이다. 과거사 문제 해결을 통한 신뢰에 기반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구축하자는 의미로 이는 지금까지도 박 대통령의 대일(對日) 스탠스로 이어져오고 있다.

이로부터 6개월 뒤인 2013년 9월5일(현지시간) 두 정상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통해 취임 후 처음으로 얼굴을 마주했다. 박 대통령은 공식 업무만찬에 참석하기 직전 리셉션장에서 아베 총리와 잠시 조우해 인사를 나눴는데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 아베 총리는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싶다는 뜻을 밝힌 바 있지만 실제 회담은 성사되지 않은 상태였다.

박 대통령은 한 달 뒤인 2013년 10월7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아베 총리와 다시 만났지만 별다른 스킨십을 보이지 않았다.

당시 박 대통령은 정상회의 제1세션에서 아베 총리의 바로 옆자리에 앉았지만 눈에 띌 만한 접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진 갈라 만찬에서는 아베 총리와 짧은 대화를 나눴지만 의미 있는 내용은 아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사흘 뒤 브루나이에서 열린 아세안+3(ASEAN+한·중·일)에서 또 만났다. 당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각국 정상들이 모인 가운데 기념촬영을 하면서 바로 옆자리에 서 손을 마주 잡기도 했지만 '마음의 벽'을 반영하듯 별도로 대화를 나누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듬해인 2014년 3월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는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처음으로 장시간 대화를 나누는 자리가 됐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요구로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한·미·일 정상회의가 성사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회의가 한·미·일 3각 공조 복원을 꾀하고 있던 미국 주도로 마련된 자리인 만큼 45분 가량의 회담 시간 대부분은 북핵 문제 해결과 3각 공조 체제 복원에 맞춰졌고 한·일 간 과거사 문제는 전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아베 총리가 박 대통령과 눈을 맞추며 한국어로 "만나서 반갑습니다"라고 인사를 건넨 뒤 모두발언에서 "한국의 이산가족 문제에 있어서도 북한이 긍정적으로 대응하기를 바란다"고 말한 점이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보여주려는 듯한 '제스처'로 해석됐다.

당시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후 미국으로부터 한·일 관계 개선에 나설 것을 종용받아온 데다 중국과의 영토분쟁에서 미국을 확실한 지원군으로 만들어야 할 '액션'도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는 같은 해 7월과 9월에 각각 방한한 마스조에 요이치(舛添要一) 도쿄도지사와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총리를 통해 계속해서 화해의 제스처를 보냈다. 박 대통령과 접견한 마스조에 지사를 통해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데 이어 모리 전 총리를 통해 전달한 친서에서는 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했다.

그러나 야스쿠니 신사 공물헌납, 각료들의 신사참배 등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대하는 태도가 여전히 바뀌지 않은데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진전 없이는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따른 실익이 크지 않다는 우리측 입장에 따라 실제 정상회담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대신 양국 정상은 같은 해 11월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갈라만찬에서 조우해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 국장급 실무협의가 잘 진전되도록 노력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해가 바뀌고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은 올해 2월13일 아베 총리는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일본 자민당 총무회장을 통해 다시 박 대통령에게 친서를 전달했다. 친서에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올해가 양국에 있어 좋은 해가 되도록 상호 노력하자'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의 안정된 미래를 차세대에 물려주기 위해서는, 특히 핵심 현안으로 남아있는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 양국관계 개선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올해 3월29일 아베 총리와 다시 조우했다. 리콴유(李光耀) 전 싱가포르 총리 국가장례식에 참석한 자리에서다. 국장이 끝나고 토니 탄 싱가포르 대통령이 주최한 리셉션에서 박 대통령은 자신을 찾아온 아베 총리와 짧게 대화를 나눴다.

아베 총리는 "최근 있었던 3국 외교장관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에 감사드린다"며 "의장국으로서 역할을 해주신 것을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3국 외교장관회의에서 합의한 대로 앞으로 필요한 조치를 잘 취해나가자"고 전했다.

리콴유 전 총리의 국장보다 일주일 앞서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3국에게 모두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자'고 합의한 것을 빨리 구체적 실천으로 옮기자는 의미였다.

이후 박 대통령은 지난 9월 초 중국 전승 7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계기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3국 정상회의 개최에 합의했다.

그리고 한·일 정상은 지난달 27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UN) 기후변화 주요국 정상오찬에서 잠시 만나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주제로 환담을 나눴다. 아베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을 건넸으며 이에 박 대통령은 "서울에서 만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8일 방한한 일본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대표를 통해 다시금 친서를 전달했다. 야마구치 대표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대화의 장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하면서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이후 양국은 회담 시기와 형식, 시간, 의제 등을 놓고 줄다리기를 이어오다 마침내 이날 한·일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공식발표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