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강원 출신 친일파 124명…해방 후에도 기득권 지켜

입력 2015-08-15 23:0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강원 출신 친일파 124명…해방 후에도 기득권 지켜


강원도 출신의 친일파는 몇 명이고 누구였을까?

14일 민족문제연구소에 따르면 현재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강원 출신 124명이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올랐다.

친일인명사전에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조사돼 등재됐기 때문에 현재의 경기도 이천 출신 2명과 경상북도 울진 출신 1명이 강원 출신으로 분류돼 총 127명을 고발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강릉이 15명으로 가장 많고 춘천 14명, 철원 10명, 통천(북강원도) 6명, 홍천·원주 5명, 양양 4명, 고성·삼척·영월 3명, 평강(북강원도) 2명, 평창·정선·양구·횡성 1명 등이다.

직업군별로는 경찰이 40명으로 가장 많고 관료 31명, 중추원(조선총독 자문기구) 참의 13명, 예술가 8명, 판사 7명, 종교인 4명, 군인 3명, 교육자 2명, 일본군위안소운영자 1명 등이다.

해방 후 이들은 자신의 경력을 이용해 경찰국장, 국회의원, 고위직 관료, 고위직 군인, 변호사, 종교계 대표, 대학 부총장, 교수, 기업인 등을 지내며 기득권을 유지했다.

민족주의 진영은 친일 잔재 청산에 이들이 걸림돌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해방 후 기득권을 유지한 강원지역 친일파는 친일인명사전에만 16명으로 조사됐다.

또 해방 후 남과 북의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 대한민국 무공훈장, 건국훈장 애족장, 국기훈장 제1급 등 훈장을 받은 친일파도 5명이나 됐다.

이 중 국기훈장 제1급은 무용가로 명성을 떨친 월북 예술인 최승희가 받은 북한 정부의 훈장이다.

강원 출신은 아니지만 일제강점기 시절 강원도지사를 지낸 이범익도 대표적인 친일파다.

광복회 등은 2013년 이범익의 친일 행적을 알리는 단죄문을 춘천시 소양로 비석군에 설치했다.

정선문화연대와 주민들도 같은 해 정선군에 세워진 이범익의 공적비 옆에 친일 행각을 꼬집는 단죄문을 세웠다.

광복회 이종호 강원도지부장은 "친일 잔재 청산이 제대로 된 게 없다"면서 "청산은 범국민적으로 돼야 하는데 강원도만 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못해서 안타깝고 답답하다"고 말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