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예산·인력·편제 '허점투성이 연구소'…어쩌다 이 지경?

입력 2015-07-09 21:1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연구소는 여전히 개점 휴업 상태라는 얘기인데, 왜 그렇게 된 겁니까?

[기자]

네, 무엇보다 예산 문제가 가장 큰데요. 연구소가 개점 휴업 상태가 된 이유를 정진규 기자의 리포트로 보시겠습니다.

+++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최소 운영비용은 연간 80억 원 정도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교육부로부터 받은 예산은 이 비용의 1/4 수준인 24억 원에 그쳤습니다.

올해 예산은 이보다 더 줄어든 15억 원입니다.

예산이 부족하다 보니 장비 구축은 물론, 최소한의 인력도 갖출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상적인 연구소 운영에 필요한 최소 인력은 150명이지만 현재 근무 인력은 9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시설직 등을 뺀 순수 연구 인력은 단 6명뿐입니다.

[인수공통연구소 관계자 : 각각의 분야 교수님들이 오셔서 협동 형식으로 연구하다 보면,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낼 텐데, 지금 (교수) 2명만 있고, 장비도 안 갖춰져 있고…]

이 연구소의 설립은 브루셀라가 유행하던 지난 2006년,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강재섭 의원의 주도하에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완공 뒤 정작 운영 예산에 대해선 어떻게 할지 명확히 하지 않았단 게 문제입니다.

연구 내용은 보건복지부나 농림부와 관련돼 있지만 대학 내에 설립돼 교육부 산하로 편제되다 보니 다른 부처 예산을 거의 받아오지 못했습니다.

여기에 전북대는 대형 연구소를 운영할 만큼 재정상태가 좋지 못합니다.

'메르스 추경'으로 불리는 올해 정부의 추경 예산에서도 이 연구소에 대한 예산은 단 한 푼도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나랏돈 370억 원을 들여 만든 연구소는 완공 1년 7개월째 헛바퀴만 돌고 있습니다.

+++

[앵커]

370억원이 들어갔는데 하여간 여태까지 놀고 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앞으로도 여전히 그런 상태입니까?

[기자]

네, 앞서 리포트에서 잠깐 언급됐는데요. 연구소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운영 예산과 연구비 지원 근거를 명확히 하는 게 중요합니다.

연구 예산이 다른 부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교육부가 충분한 지원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 지금은 전북대 부설 연구소로 되어 있지만 독립 법인을 세워 연구 예산을 정부로부터 직접 지원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메르스 같은 신종전염병 출현의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이 연구소를 제대로 가동해 예방적 차원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관련기사

메르스 뒤 '백일해' 역습…경남 초등학교 3곳서 8명 감염 50~60년대 전염병인 '백일해', 다시 유행하는 이유는? 에볼라에 홍콩 독감까지…한국 엿보는 제2의 메르스 "메르스 늑장 대응" 첫 소송…전염병 손배 사례 있나 정부, 역학조사관 90명 충원…'부실 논란' 잠재울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