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가계부채·집값↑ 소득은↓…빨간불 켜진 내수, 전망은?

입력 2017-11-27 09:43 수정 2017-11-27 09:4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우리 내수경제의 불안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가계부채 증가와 집값 상승이 심상치 않습니다. 실질 소득은 뒷걸음질치고 있는데 서민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수출 회복에도 불구하고 올해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경제산업부 이태경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자, 우선 가계 부채부터 살펴보지요. 얼마나 많이 늘었습니까?

[기자]

네, 9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1419조 원입니다.

지난해 9월 1300조 원을 넘어섰는데 1년만에 다시 100조 원이 늘어난 것입니다.

이를 전체 가구수로 나눠보면 가구당 평균 7000만 원 이상이라는 계산이 나오는데요.

가구당 평균 부채는 2015년 6000만 원대로 올라선 뒤 2년 만에 7000만 원을 넘겼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가구당 7000만 원이 넘는 빚을 지고 살아가고 있다는 얘기군요. 8·2 부동산 대책을 통해 주택담보 대출 규제를 강화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도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기자]

우선 8·2 대책이 예고되면서 7월에 대출신청이 급증했는데요.

7월에 승인된 주택담보대출이 8~9월에 집행되면서 대출액이 늘었습니다.

또 하나는 대출 풍선효과를 들 수 있는데요. 주택담보대출을 조이자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자영업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입니다.

자영업대출은 자영업자가 받은 개인사업자대출과 신용대출 등을 합친 금액으로 총 520조 원이나 됩니다.

[앵커]

그렇군요. 또 하나 궁금한 것은 서울의 집값입니다. 8·2 부동산 대책 이후에 한동안 주춤했는데 최근 다시 오르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18% 상승해 15주 만에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그 중에서도 강남4구라 불리는 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평균 상승률은 0.28%로 더 컸습니다.

[앵커]

고강도 규제를 했는데도 집값이 계속해서 오르는 것은 뭘까요?

[기자]

8·2 대책 이후 매물이 줄면서 생긴 이른바 품귀효과라 할 수 있습니다.

다주택자들이 일단 정부 규제 영향을 지켜보자는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물을 거둬들인 것인데요.

이렇다보니 몇 개 남아있지 않은 매물을 현금여력이 많거나 당장 집이 필요한 이들이 매수하면서 가격이 오른 것입니다.

[앵커]

이 기자, 빚이 늘고 집값이 오르면 서민들의 어깨는 더 무거워질 수 밖에 없겠지요? 실질 소득이라도 조금 늘어나면 좋을 텐데 현실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올해 3분기 가구당 월 평균 명목소득은 453만 원으로 1년전보다 2.1% 늘었습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439만원으로 1년전보다 0.2%줄었습니다.

실질소득이 줄어든 것은 기업들이 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임금을 많이 올리지 않은 영향이 큽니다.

세계경기가 살아나고 있다고 하지만 반도체와 IT 업종의 일부 대기업을 빼면 나머지 업종은 아직 실적 개선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이와 함께 올 들어 식품가격과 휘발유값을 중심으로 소비자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주머니 속에 들어오는 실제 소득이 줄었습니다.

[앵커]

자, 이렇게 되면 올해 기대했던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도 어렵게 될까요?

[기자]

당초 다수의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 3%를 이루면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봤습니다.

그런데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어제 한 포럼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서 "3만달러 달성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내수가 불안한 가운데 믿을 것은 수출인데, 최근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출여건이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앵커]

이 기자, 내년에는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요? 가계 부채나 집값이 좀 잡히고 실질 소득도 늘어나면 좋을 텐데요.

[기자]

네, 일단 가계부채 증가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내년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자영업대출 한도를 줄이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시행되기 때문인데요.

집값 상승세도 앞으로 시행될 여러 규제를 감안할 때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특히 내년 4월부터 다주택자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중과하는데요.

4월 이전에 적지 않은 다주택자가 가격을 낮춘 급매물을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질소득의 경우엔 양질의 정규직 일자리창출과 최저임금 인상 등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기대를 걸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네, 지금 당장은 힘들지만 내년에는 살림살이가 조금이라도 나아지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이태경 기자 수고했습니다.

관련기사

'6억 빌려 10억 상가 구입' 변동금리로 불가능…고정금리 'OK' 내년부터 대출 DTI 계산법 바뀐다…거치 짧고 나눠 갚으면 유리 국내도 해외도 '씨 마른' 오징어…가공업체들 존폐 위기 가계빚 3년간 363조 폭증…내년 1천500조 넘어서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