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남북 군사회담 판문점서 개최…정부, 모르쇠로 일관

입력 2014-10-15 13:18

44개월만의 회담…대북 전단·NLL 긴장 완화 의제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44개월만의 회담…대북 전단·NLL 긴장 완화 의제

남북 군사회담 판문점서 개최…정부, 모르쇠로 일관


남북이 15일 오전 10시께 판문점에서 장성급 군사회담을 비공개로 개최했다. 하지만 통일부와 국방부 등 정부는 이 사실을 극비에 붙여 뒷말이 무성하다.

국방부는 물론 통일부는 이날 남북 군사회담과 고위급 접촉 제안 보도에 대해 "회담과 관련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반복해 밝힐 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하지 않은 만큼 회담 개최는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남북이 오늘 오전 10시 판문점에서 장성급 군사회담을 개최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런 설명을 뒷받침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비대위원은 이날 "오늘 오전 10시 판문점에서 남북 고위급접촉 실무회담이 열린다"며 "오늘 실무접촉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당면문제인 NLL(북방한계선), 전단살포 등에 점진적인 조치로 박 대통령이 말한 5·24조치가 해제되고 금강산 관광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극비리에 장성급 군사회담을 개최한 이유는 북한의 요청 때문으로 알려졌다. 북측이 회담 개최 자체를 비공개로 할 것을 요구해와 정부가 공식 발표를 하지 못하고 비공개로 하게 됐다는 것이다.

한편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은 2007년 12월 이후 약 7년만이다. 실무회담은 지난 2011년 2월 이후 3년8개월 만에 열린 것이다. 이번 회담에는 북측 대표로 김영철 북한군 정찰총국장이, 남측은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지난 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과 우리 측 함정 간 교전 직후 북측의 전화통지문을 계기로 회담을 준비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회담에서는 지난 10일 벌어진 대북전단 살포와 이에 따른 북한의 고사총 총격 도발 문제와 NLL 일대에서 군사적 긴장완화 문제가 최우선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정부가 지난 13일 북한에 전통문을 통해 제2차 남북 고위급 접촉 일정을 제시했다는 관측도 제시되고 있다. 다만 통일부 당국자는 전날 "북측에 고위급 접촉을 제의할 시점은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힌 바 있어서 전통문 발송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