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앵커브리핑] '삼가 무찌르고 붙잡은 일을 보고합니다'

입력 2019-07-24 21:53 수정 2019-07-24 21:5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뉴스룸의 앵커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그는 한바탕의 전투가 끝나면 결과를 소상하게 기록하여 임금에게 올렸습니다.

"이순신의 장계는 그 첫머리부터가 문신들의 장계와는 판이하다"
- 김훈 '내 마음의 이순신 1' < 연필로 쓰기 > 중

작가 김훈에 따르면 이순신의 장계는 첫머리부터가 다른 문신들의 장계와 판이하게 달랐다고 하는군요.

(장계 - 신하가 왕에게 보고하거나 청하는 문서)

즉, 고사나 고전을 인용하면서 임금을 칭송하는 상투적인 도입부를 쓰는 대신에 그는 다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삼가 무찌르고 붙잡은 일을 보고합니다"
- 김훈 '내 마음의 이순신 1' < 연필로 쓰기 > 중

이렇게 시작된 그의 장계는…

"'맞붙어 싸울 때' 관노비 기이, 관노비 난성, 토병 박고산, 격군 박궁산…들은 전사했고…"  
- 김훈 '내 마음의 이순신 1' < 연필로 쓰기 > 중

그는 이렇게 전투에서 몸이 상한 관노비, 사노비, 어부, 격군, 토병들의 이름과 작은 전공까지 세세하게 적어 임금에게 보냈습니다.

"이들의 처자식들에게는 구제를 위한 특전을 베풀어주소서"
- 김훈 '내 마음의 이순신 1' < 연필로 쓰기 > 중

간결하고 건조한 자신의 일기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지요.

"흐리다. 새벽에 최천보가 세상을 떴다." (1594년 4월 5일)
"맑다. 탐색선이 들어왔다." (1595년 2월 18일)
"맑다. 새벽에 배설이 도망갔다." (1597년 9월 2일)
- 이순신 < 난중일기 >

아마도 그 까닭은…

도성을 버리고 의주로 달아난 조정에서 가장 중히 여겨야 할 것들이라는 유려한 미사여구나, 공허한 충성의 언어가 아니라…

다치고 부서져도 지키고자 하는 백성의 마음이라는 의미가 아니었을까…

물론 지키고자 했던 백성의 그 마음은 실패로 마무리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강제병합 이전에 진행된 국채보상운동이 그러하였고,

(국채보상운동 - 국민이 주도하여 국가가 일본에 진 빚을 갚고자 한 모금 운동)

1920년대 조선물산장려운동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조선물산장려운동 - 일제의 경제적 수탈정책에 맞서 전개한 민족경제 자립실천운동)

"우리가 만든 것 우리가 쓰자"

비록 의병처럼 총칼을 들지는 못하였지만 마음이나마 의병이 되고자 했던 이들의 움직임은 일제의 분열 공작과 탄압으로 결국 무산되고 맙니다.

그러나 끊임없이 일어나 지키고자 했던 그 마음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우리는 결국 나라를 되찾은 것일 겁니다.

아마 오늘의 시민들 또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들은 이순신의 장계 속에 등장한 그 사람들처럼 이름을 남기진 못할 것이나, 스스로 움직이고 있으니…

오히려 부끄러해야 할 사람들은 자극적인 고함, 혹은 유려한 미사여구, 또는 애국을 앞세운 말들로 스스로를 포장하는 쪽이 아닐까… 

그에 비하면 평범하디 평범했을 노비의 이름을 앞세운 이순신의 마음이란…

"'맞붙어 싸울 때' 관노비 기이, 관노비 난성, 토병 박고산, 격군 박궁산…들은 전사했고…"  
- 김훈 '내 마음의 이순신 1' < 연필로 쓰기 > 중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관련기사

"일본제품, 배달도 안내도 안 하겠다" 택배·마트노조 동참 영향 없다?…뜸해진 한국인에 일 지자체장 "어렵다" 토로 "아베는 사죄하라!" 일본영사관 진입 시위한 대학생들 [앵커브리핑] '노회찬이 틀렸다? 맞았다!' '초당적 대처'한다더니…논의는커녕 날 선 '친일 공방'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