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네이버·카카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논란 휘말려

입력 2016-12-25 17:52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 공정성 재점화
"삭제 기준은 자체적으로 만든 것 아냐" 해명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 공정성 재점화
"삭제 기준은 자체적으로 만든 것 아냐" 해명

네이버·카카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논란 휘말려


네이버·카카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논란 휘말려


네이버와 카카오가 '실시간 검색어' 삭제 기준을 두고 공정성 논란에 휘말렸다.

25일 미디어·인터넷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포털 다음)는 행정·사법기관이 요청하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순위에서 삭제·제외하는 자체 지침을 2012년부터 만들어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탄핵과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정국 불안으로 네이버와 카카오의 실시간 검색어 검열 의혹은 정치사회적 문제로 일파만파 확산됐다.

특히 업계 1위 네이버가 직격탄을 맞았다. 네이버 포털 서비스의 업계 점유율은 PC 87%, 모바일 90% 수준으로 대다수 국민들은 네이버가 메인에 표출하는 콘텐츠로 소식을 접한다.

논란이 커지자 이날 네이버는 해명자료를 내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인위적으로 추가하거나 제외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100% 기술적 제어가 불가능한 부분은 외부에 공개한 기준(링크)에 따라 모니터링을 통해 검색어 노출을 제외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삭제·제외 기준은 자체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란 점도 강조했다.

네이버는 "공개한 기준은 내부 기준이 아니며 대법원 판결 등에 따른 회사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기준"이라며 "이 기준은 포털 다음도 동일하게 갖고 있는 기준으로 양사 모두 외부에 이를 공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포털 다음을 서비스하는 카카오도 이번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네이버와 달리 다음은 실시간 검색어 삭제 수치 등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카카오는 "다음 서비스에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반영하지 않는 '비(非) 집계 기준'과 '필터링 기준'이 존재한다"고 인정하면서 "성인·음란성 키워드와 상업적·불법 검색어 등은 배제하고 있으며 법령에 따른 행정·사법기관의 요청 등에 따른 법적 차원에서 검색어 노출 제외 기준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이 최신 이슈를 빠르게 알려주는 기능이 있지만 기사 반복 전송(어뷰징), 여론 호도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실시간 검색어 기준에 대한 모호성도 끊임없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국민적 관심사를 받는 정치·재계 유명 인사의 스캔들이 터져도 실시간 검색어 순위권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기업 기밀 등의 이유로 실시간 검색어 알고리즘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 3월 발족한 포털 뉴스를 심사하는 제3 기관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서도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 개편을 논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네이버와 카카오의 비즈니스 전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고, 시간을 더 들이며 상황을 살피자는 중론 속에 개편은 보류된 바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실시간 검색어 조작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들을 실망시키지 않도록 합리적 기준과 투명한 운영으로 만전을 기하겠다"며 "글로벌 기업 수준으로 서비스 운영 기준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이를 외부에 오픈하는 방향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