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야코프병, 감염병 지정해두고 부검·연구 없어…사실상 방치

입력 2018-07-11 21:40 수정 2018-07-11 23:18

CJD 의심환자 '전수 분석'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CJD 의심환자 '전수 분석'


[앵커]

어제(10일) < 뉴스룸 > 에서는 인간광우병 유사 질환으로 알려진 크로이츠펠트 야코프병, 즉 CJD 환자의 사연을 전해드렸습니다.

 

40여 곳의 병원에서 치료와 입원을 거부당했는데, 비단 병원만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정부가 CJD를 법정 감염병으로 정해놓고도 사실상 방치해 왔다는 지적입니다. 그 사이에 CJD 의심 환자들에게는 기존과 다른 양상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지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JTBC 취재진이 만난 산발성 CJD 환자 송모 씨의 나이는 58세, 진단에서 사망까지 4개월이 걸렸습니다.

이는 '산발성 CJD'의 평균 발병 연령 60대, 평균 생존기간 8개월과 비슷합니다.

그런데 JTBC가 국내 CJD 의심환자 내역이 담긴 자료를 입수해보니, 기존 특성과 다른 양상이 나타났습니다.

지난 7년간 국내 CJD 의심환자로 신고된 환자들의 내역입니다.

통계청 사망신고를 바탕으로 이들의 생존여부를 추적해보았더니, 3년 이상 생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은 34명에 달했습니다.

이 중에는 9년 이상 생존중인 사례도 있었습니다.

노년층에서 발병된다는 기존 연구와 달리, 30대 의심환자도 있었습니다.

특이한 사례가 나타난 겁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CJD를 규명하기 위한, 부검조차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김상윤/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 부검해서 확진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그 시스템이 없으니까, 지금 이게 얼마나 정확하게 진단이 되고 있는지 아무도 자신할 수 없죠.]

실제 국내 유일한 CJD 부검센터에서 이뤄지는 부검은 매년 한 두 건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 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복지부는 지난해 CJD 부검센터를 추가 설치하겠다며 5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가 사용하지 않는 등 CJD 연구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현권/더불어민주당 의원 : 국가가 (CJD 환자의) 치료비나 입원비를 부담하고, 사후 뇌를 기증받아서 연구하는 방안도 검토해봐야 합니다.]

오락가락하는 정부 정책으로 환자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충현)

관련기사

인간광우병 괴담에 병원서도 거부…'야코프병' 환자 고통 [탐사플러스] 40곳서 입원 거부…기댈 곳 없는 '야코프병' 환자들 의사단체 "약국 자살예방사업 중단하라"…복지부 "진료 아니다" 이틀 뒤에야 후속지침…혼란 부추긴 고혈압약 '늑장대책'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