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주택시장 얼어붙자 '가계대출 증가세' 확 꺾였다

입력 2017-02-09 15:5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주택시장 얼어붙자 '가계대출 증가세' 확 꺾였다


1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 꺾인 것은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과 금리 상승, 겨울 비수기 효과 등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1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708조원으로 전월 대비 1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1월 가계대출 증가폭은 2014년 1월(-2조2000억원)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 풀 꺾인 것은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대책이 본격적으로 효과를 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은 533조7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8000억원 증가했다. 2014년 3월(8000억원) 이후 2년10개월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주담대 증가폭은 지난해 11월 6조1000억원, 12월 3조6000억원, 올해 1월 8000억원 등으로 점차 축소되는 추세다.

미국 금리인상과 '트럼프 리스크' 등으로 국내 대출 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고 있는 점도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9월 2.80%에서 10월 2.89%, 11월 3.04%, 12월 3.13% 등으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11·3 대책 이후 주택 경기가 위축 조짐을 보이고 있는 점도 가계가 대출을 꺼리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11월 1만1000가구에서 12월 9000가구, 1월 5000가구로 점차 위축되고 있다.

봄 이사철이 시작되는 2월 주택 경기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조사한 2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HBSI) 전망치는 64.6에 머물렀다. 전망치가 100을 밑돌면 경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업체가 더 많다는 뜻이다.

하지만 통상 12~1월이 부동산 시장의 비수기로 분류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계대출 추세를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다.

1월 가계대출의 증가세가 크게 꺾이긴 했지만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1월 평균(-1조7000억원) 보다는 아직 큰 수준이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금리가 올라가고 대출 심사가 강화되면서 돈을 빌리겠다는 문의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통상 이사철인 봄이 되면 주담대가 늘어난다는 점, 또 올 상반기 정부가 어떤 정책을 가져갈지 등을 지켜봐야 정확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던 가계대출 증가세에 제동이 걸린 것은 일단 긍정적인 신호라는 평가다.

하지만 대출 감소가 급격한 주택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경우 오히려 가계부채의 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허문종 우리금융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가계대출 증가세가 과했고 부동산 경기가도 단기에 너무 올랐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대출 증가율이 낮아진 것은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허 연구원은 "정부가 의도했던 것보다 과도하게 부동산 경기가 꺾일 경우 가계부채가 부실화할 우려가 있다"며 "또 충청, 영남권 등 지방쪽은 미분양이 많이 늘어난 상황이라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