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국제스포츠행사 때마다 예산 낭비 심각…줄일 방안은?

입력 2014-10-24 21:27 수정 2014-10-24 21:3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 문제를 취재한 윤영탁 기자와 함께 한 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오늘(24일)뿐만 아니라 어제 그제 계속 보도해드렸는데요. 앞선 리포트들을 보면 타당성이 없어 보이거나 의심이 드는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별 검증이나 견제 없이 속속 착공하는 게 맞느냐 하는 문제 제기 아니겠습니까? 이런 일이 어떻게 가능한 건지부터 풀어볼까요?

[기자]

네, 해답은 국제스포츠행사 유치 때면 제정되는 특별법에 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역시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 국회에서 제정됐는데요. 아시다시피 수백억 원대의 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시설은 반드시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야만 합니다.

여기서 비용 대비 편익, 즉 경제성이 1.0을 넘어야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는데요, 상당수 사업들이 이 단계에서 탈락합니다.

하지만 특별법 적용대상이 되면 얘기가 달라지는데요.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는 데다 사업비의 최대 75%까지 예산지원도 받는 겁니다.

이번 평창동계올림픽도 총 사업비 11조 원 가운데 66%인 7조 원 정도에 국비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여기에 이 기회에 평소 숙원사업까지 해결해보자는 지자체들의 욕심도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앵커]

지자체 입장에선 '때는 이때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 얘기겠죠? 이런 사례가 비단 평창동계올림픽에만 국한된 건 아니죠? 과거에도 있어 왔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여기 표를 보시면, F1 자동차경주대회 경기장 만드는 데 4천2백억 원, 얼마 전 끝난 인천 아시안게임의 주 경기장과 경기장 4곳을 짓는 데 1조 1800억 원 정도 들어갔고요.

평창동계올림픽도 경기장 6곳을 짓는 데 6천4백억 원, 또 원주에서 강릉으로 가는 KTX 복선 전철 및 연결도로를 짓는 데 7조 원 가까이가 필요하다고 책정돼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대회 개최를 위해선 필요한 시설들인데요. 문제는 타당성 조사가 면제되는 탓에 규모나 예산의 적정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실제로 이 F1 대회를 치른 전남과 영암군의 경우는 심각한 재정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고요.

인천도 얼마 전에 경기가 끝났고 오늘 또 장애인아시안게임이 끝났는데, 같은 고민에 빠질 개연성이 상당히 커졌습니다.

[앵커]

인천은 빚만 해도 1조 7000억이라고 지난번에 나오던데요. 지금이라도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은 없는가, 즉 대안이 없는가 하는 문제인데요.

[기자]

대안을 살펴보려면 앞서 큰 대회를 치른 나라들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영국은 2012년 런던올림픽 당시 총 34개 경기장이 필요했는데요, 이 중에 새로 지은 경기장은 8개뿐입니다.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했기 때문인데요. 7개는 가건물 형태로 지은 뒤 철거했습니다. 게다가 메인스타디움은 60%를 뜯어내 다음 개최지인 브라질에 수출해서 900억 원 가까이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앵커]

그런 방법도 있습니까? 뜯어내서 수출도 합니까?

[기자]

다음 올림픽 개최지니까 수출해서 쓴다는 겁니다.

또 역시 흑자를 낸 동계올림픽으로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사례도 참고할 만한데요.

기존 대학 기숙사를 선수촌과 미디어촌으로 활용한 겁니다.

반면 우리는 인구 22만 명인 강릉에 수천 세대 규모로 선수촌 등을 신축하기로 해 벌써부터 미분양이 걱정될 정도입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대회 준비에 차질이 없는 범위 내에서 지금이라도 기존시설을 최대한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사후에 활용이 어렵고 유지비만 드는 건물은 과감하게, 좀 무리를 하더라도 대회 뒤에 철거할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해달라, 이렇게 주문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함께 앞에서 말씀드렸던 특별법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니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강화하든지 그런 대안도 좀 마련해야 된다, 그런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아직 몇 년 남아 있는 상황인데 지금이라도 좀 현명하게 판단했으면 좋겠네요. 윤영탁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6백억 식수 저수지'…지역 숙원 사업, 올림픽 예산으로? 가리왕산 활강스키장, 3일 쓰려고 1천억…복원비 1천억 '빛 내려다 빚만'…강릉 빙상경기장 4개 지어 2곳 철거 평창올림픽조직위, 빙상 4개 경기장 중 절반 '사후 철거' 방침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