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북한 위성 추적…사막에서 바늘 찾기?"

입력 2012-12-13 10:47 수정 2012-12-13 10:4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관련해 국내에서도 위성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실상 추적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13일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30분부터 10분 동안 북한 지상국과 위성간 통신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RF(주파수) 장비를 이용, 통신 수신을 시도했다.

북한이 쏘아 올린 물체가 위성이라면 평양 지상국과 위성 사이에 통신이 이뤄지기 때문에 신호를 잡을 수 있다면 진짜 위성인지, 아니면 그냥 '물체'인지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북한 위성의 주파수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현재로선 위성에 대한 추적이 불가능하다고 센터는 설명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채장수 박사는 "'걸리면 운이 좋겠다'는 생각으로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갖고 수신 시도를 해보고 있다"면서 "실제 포착을 위한 것이라기보단 연구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이날도 북한 지상국과 위성 간 신호를 포착하기 위한 통신 수신을 시도할 방침이다.

현재 국내 우주기술로는 북한이 위성(물체)을 제 궤도에 진입시켰는지도 알 수 없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에서 분석해 위성(물체)으로 등록해야 위성에 대한 궤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최근 레이저로 위성을 추적할 수 있는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 시스템(SLR·Satellite Laser Ranging)'을 개발했지만, 실제 적용은 불가능하다.

정확한 궤도 요소를 알려면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여러 나라에서 위성의 공전을 관측해 측정값을 종합해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다른 나라에 측정소가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 독자적으로 SLR 시스템을 가동할 수는 없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KAIST 인공위성센터에서 블라인드 서치(blind search, 무작위 검색)를 한다고 하지만 북한의 주파수 정보를 모르는 상태여서 사막에서 바늘 찾기나 다름없다"면서 "설령 북한의 주파수를 안다고 해도 암호화돼 있을 것이기 때문에 해독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북한 인공위성 기술 실용화 수준은 "북한 광명성3호, 500㎞ 원형궤도는 진입못해" 북한, 이틀째 '로켓 발사 성공' 자축 북한, '은하 3호' 로켓 발사 장면 공개…"성공적 분리"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