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앵커브리핑] 그들에게 주어진 것은 1년 364일…'나 혼자 산다'

입력 2016-04-28 21:39 수정 2016-04-28 23:4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뉴스룸의 앵커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그들의 1년은 364일. 그들의 1년은 12달이 아닌 11달.

남들보다 열심히 살아보려 애쓰지만 어찌 된 일인지 늘어나지 않는 그들의 하루. 그리고 한 달.

퇴직금을 주지 않으려, 정규직으로 채용하지 않으려, 정부기관에서조차 부렸다는 꼼수 때문이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양산된 1년 미만짜리 계약직 노동자, 세상은 그들에게 364일이라고 강요했고, 모자라는 하루는 움켜쥔 채 나눠주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해서 이른바 나쁜 일자리는 5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리고 여기 또 다른 500만이 있습니다.

1인 가구 500만 시대.

'혼밥족' 즉 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이 낯설지 않은 요즘, 같은 솥밥을 먹는다는 의미의 '식구'는 빛바랜 단어가 돼버렸습니다.

요즘은 미혼이라 하지 않습니다.

자발적으로 결혼하지 않는 '비혼'이라고 한다는군요.

가정의 달이라는 5월이 내일모레이고, 가족끼리 나가서 놀라고 임시공휴일도 정해줬다지만 정작 함께 놀러 갈 가족이 없는 현실.

이 비혼족이라는 신조어 뒤에는 낮은 소득과 높은 주거비, 앞으로 감당해내야 할 사교육비 등을 넘어 어쩌면 가족을 만든다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두려움이 도사리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IMF 외환위기 사태 뒤 뼈저리게 목도한 국가의 실체.

국가(國家)가 아닌 가국(家國).

기본적인 사회안전망은커녕, 모든 고통을 가족이란 이름에 전가시킨 국가의 무능.

아마도 비혼을 택한 젊은 세대들에겐 가족이 붕괴됐던 어린 시절 그때의 트라우마가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요.

또한 그 이후 20년이 지났어도 국가에 기대어 개인의 미래를 담보할 수는 없다는 현실을 누구보다도 이들이 잘 알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오늘은 나 혼자 산다지만, 내일은 독거노인이 될지도 모를 청춘들.

그리고 그들에게 다시 주어진 것은 1년 364일, 1년 11달.

꽃 소식을 전해주었던 남쪽으로부터 구조조정의 소식이 들려오는 오늘(28일)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관련기사

[앵커브리핑] '워치독, 랩독, 가드독…그리고' [앵커브리핑] 씁쓸한 남의 잔치가 되버리는…'만원의 행복' [앵커브리핑] 이윤의 사유화, 손실의 사회화…'이봐, 해봤어?' [앵커브리핑] '어버이가 건넨 130만원, 어버이가 받은 2만원'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