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스프링클러 왜 없었나…2009년 이후 고시원만 '의무'

입력 2018-11-09 20:41 수정 2018-11-09 21:2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2008년 용인에서 큰 불이 난 뒤 고시원에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됐지만 오늘(9일) 불이 난 건물은 그 이전에 지어져서 제외됐습니다. 대부분의 재난이나 화재 대책이 이와 비슷합니다. 소급적용이 어렵다면 다른 대책이라도 마련해야 하는데,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이수정 기자입니다.
 

[기자]

7명이 숨지고 10명이 다친 2008년 용인 고시텔 화재 현장입니다.

이 무렵 고시원 화재가 잇따르자 2009년 다중이용업소 특별법이 개정됐습니다.

숙박을 제공하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됐습니다. 

하지만 법 적용 이전에 등록한 이 고시원은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이후에도 몇 차례 소방 관련법이 강화됐지만 법 시행 이후 짓거나 등록한 건물에만 적용돼 노후 건물은 번번이 사각지대에 놓였습니다.

고시원 뿐 아닙니다.

2015년 의정부 아파트 화재 이후 6층 이상 건물에 드라이비트를 쓰지 못하도록 소방법이 개정됐지만 지난해 불이난 제천 스포츠센터는 2012년 지어져 빠졌습니다.

경주와 포항 지진 이후 고층 건물 내진 기준이 강화됐지만 이 역시 신축건물만 의무적용됩니다.

법 소급 적용이 쉽지 않다면 평소 꼼꼼한 점검과 관리가 동반됐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했지만 이번에 불이 난 고시원은 숙박업소로 등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점검대상에서 빠졌습니다.

해외에서는 노후건물에 화재보험료를 높게 책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건물 관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경찰 "종로 고시원 불, 전기난로서 시작…방화 가능성 작아" 화재참사 고시원 5월 안전점검 때 '이상없음'…미등록 운영 고시생 없는 고시원…등장 40여년 만에 '생계형 거주지' 변모 고시원화재 '기러기 아빠' 생존자 "한푼이라도 아끼려 장기투숙" '불이야' 소리에 속옷 차림으로 대피…"비상벨 안울렸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