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시작부터 논란 연속…'끝' 보이는 화해치유재단 되짚어보니

입력 2018-09-26 21:34 수정 2018-09-27 03:3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2015년 겨울. 한일 양국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종식시키는 조건으로 합의문을 전격 발표합니다. 일본 정부로부터 10억 엔을 받아 피해자들에게 나눠주고 소녀상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습니다.

그리고 매우 중요한 단서 하나가 붙지요. "이번 합의로 위안부 피해자들의 문제는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일곱 달이 지나고, 당시 박근혜 정부는 '화해치유재단'을 출범시킵니다. 정식으로 출범하기 전에 준비위원회를 이끌던 성신여대 김태현 명예교수는 뉴스룸에 출연해서 재단의 성격을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김태현/명예교수 (당시 위안부 재단 준비위원장 / 2016년 5월 31일) : 일본이 10억엔을 출연을 하고 우리가 사업을 하면서 할머니들의 많은 한을 풀어드리고…한·일 간에 합의한 것이기 때문에…]

"한을 풀어드린다"고 했지만 정작 할머니들은 거짓 사과와 돈을 바라지 않는다면서 명백한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

시민들 역시 밀실에서 이루어진 '10억 엔 짜리 합의'를 용납할 수 없다면서 반발했고, 직접 돈을 모으자면서 '정의 기억 재단'을 설립했습니다. 그리고 한 시청자분은 모금 운동의 밀알로 써달라면서 1945만 원을 < 뉴스룸 > 에 보내오기도 했지요.

 


문재인 정부는 TF를 꾸려서 '화해치유 재단' 운영과 '한·일 위안부 합의' 과정을 점검했습니다. 소녀상 이전을 조건으로 한 사실상의 '이면 합의'가 존재했고, 피해자들에게 '현금 수령'을 종용했다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시작부터 '화해치유 재단'은 논란의 연속이었습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 아베 만나 '화해치유재단 해산' 의사 밝혀 1354번째 수요집회…화해치유재단 해산 시사에 '환영'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