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북에 대화 메시지, 거부 땐 제재 경고…베를린 연설 의미는

입력 2017-07-06 21:34 수정 2017-07-07 01:3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오늘(6일) 연설문의 의미를 청와대 취재기자와 좀 더 알아볼 텐데 그 전에 지금 이 시간 현재 퀴르버 재단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기자 질문 간담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잠깐 현장 화면을 받아서 어떤 상황인지 지켜보고, 지금 이 상황은… 잠깐 들어보죠.

[이 시각 독일 베를린 구시청 베어홀]

퀴르버 재단에서 이어지고 있는 질의응답 시간을 잠깐 보여드리고 있는데요. 순차통역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고요. 저희가 이 내용을 잘 정리해서 이따 2부 시작할 때 상세히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침 저희들이 연결했을 때에 오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내용을 설명하는 시간이었는데요.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사드에 있어서 이견이 있었던 것 같고요. 다만 그 이외에 북핵 해결문제라든가 남북 대화 문제 등에 있어서는 전혀 이견이 없었다는 설명이 이어진 바 있습니다. 저희들이 정리해서 잠시 후에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제윤 기자, 질의응답은 계속 되고 있지만 오늘 있었던 연설에서 눈여겨 봐야 할 대목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마저 들여다보도록 하죠.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된 바는 틀림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연설에서 당초에 준비했던 것과는 조금 다른 얘기가 나올 수 있지 않겠느냐 하는 예상은 있었는데, 그러나 여전히 대화가 강조됐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그제 북한의 도발이 있었기 때문에 당초 남북간 대화론이 상당히 위축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많았습니다.

실제 연설에서는 상황은 어렵지만 한반도 문제를 대화로 풀겠다는 대원칙을 분명히 제시했고요.

북한 김정은에게 대화를 중시하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기조는 변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앵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까지 얘기를 했습니다. 그동안에 이 얘기는 다른 남북회담에서 얘기가 나온 바는 있지만, 이것을 한국의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얘기한 것은 처음입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우리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언급한 것은 처음입니다.

평화협정은 사실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와 연계해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대통령이 평화협정을 바로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지난 2007년 10·4 정상회담 당시에도 '항구적인 평화체제'로 표현돼 있습니다.

(말을 바꿔서 표현했죠) 그렇습니다. 평화협정에 구체적으로 무엇을 담느냐는 관련국들과 협의하면서 논의할 수 있는데요.

문 대통령은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평화협정 체결을 추진하겠다고 밝혀서 평화협정 논의가 북한의 비핵화 진행과 맞물려 가는 것임을 암시했습니다.

[앵커]

북쪽이 얘기한 평화협정을 한국의 대통령이 일단 표현으로써 받아들였는데, 이에대한 반응이 북쪽에서 어떻게 나올지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중요한 건 북한의 반응이 될 텐데요. 북한이 대화 촉구에 대한 답을 하지 않으면 딱히 방법이 없는 상황이긴 해서 우려되긴 합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평화협정 논의는 비핵화 논의와 병행될 수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감안해서 단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들도 제안을 했는데요.

당장 이산가족 상봉을 하자고 제안했고요, 내년 2월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리는데 여기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해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시작을 열자고 제안했습니다.

[앵커]

북쪽의 반응은 예상컨대 쉽게 동의해서 들어오지 않을 게 분명해보이고요, 여태까지의 기조로 보자면. 그러나 아무튼 이건 시작이고, 북한이 끝까지 변치않을 것이냐 하는 것은 두고봐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북한에 대해 전반적인 대북 원칙도 제시를 했죠?

[기자]

네, 하지 않겠다는 세 가지 원칙과 추진하겠다는 세 가지 원칙을 제시했는데요.

먼저 불가 원칙으로 볼 수 있는 게 첫째로는 북한의 붕괴를 원하지 않고 두번째로는 흡수통일도 추진하지 않고 세번째는 인위적인 통일도 추진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그리고 3가지 추진하겠다는 건요. 일단 북한 체제의 안전 보장과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체결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한반도 신 경제지도 구축이 될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정부에서 나왔던, 공식적으로는 어땠는 지 모르겠지만 간간히 나왔던 흡수통일과 가까운 얘기들에 비하면 굉장히 한국정부의 입장은 바뀐 것이라고 북한도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요. 큰 틀에서는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들이 많이 제시됐지만 북한에 대한 경고 메시지도 포함됐죠?

[기자]

그렇습니다. 이번에 문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이 있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서 경고메시지를 보냈는데요.

"매우 실망스럽고 대단히 잘못된 선택"이다, "북한의 이번 선택은 무모하다", "응징을 자초했다" 등의 용어를 선택했는데요.

특히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의 도발 이후 문 대통령이 추가한 문구가 있는데 그게 바로 "북한이 돌아올 없는 다리를 건너지 않기를 바란다" 입니다.

북한에 대화의 메시지도 던졌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제재와 압박도 불가피하다는 입장도 제시했습니다.

[앵커]

정제윤 기자였습니다. 현지에서 들어오는 그림을 보면 아직까지 질의응답이 계속되고 있는데, 시간상 보자면 조금 이따 끝날 예정입니다. 말씀드린대로 잘 정리해서 2부에서 상세히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 "북 도발에 강한 제재·압박"…대화도 강조 '트럼프 리더십' 시험대…G20 정상, 외교전 본격 시작 위기의 한반도…문 대통령 '베를린 연설문' 내용 주목 문 대통령, G20서 첫 다자외교 데뷔…오늘 독일로 출국 북 ICBM 발사에 긴박한 국제사회…문 대통령 해법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