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썩은 뻘로 변한 영산강 바닥, 생물 서식 불가…복원 촉구"

입력 2016-10-06 17:09

환경단체 "4대강 사업 이후 수질·토양 오염 심화"
영산강청 "측정법 비교 부적합·여름철 산소 부족"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환경단체 "4대강 사업 이후 수질·토양 오염 심화"
영산강청 "측정법 비교 부적합·여름철 산소 부족"

"썩은 뻘로 변한 영산강 바닥, 생물 서식 불가…복원 촉구"


"썩은 뻘로 변한 영산강 바닥, 생물 서식 불가…복원 촉구"


환경단체가 4대강 사업에 따른 댐과 보 건설로 영산강의 물 흐름이 정체돼 수질·토양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며 흐르는 강으로 복원하라고 촉구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 광주·전남녹색연합, 시민생활환경회의는 6일 오전 광주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 사업 이후 영산강 바닥 저층은 산소가 없어 썩은 뻘로 뒤덮였다. 이곳에서는 생물이 서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영산강에 설치된 16개의 댐과 보로 물 흐름이 정체되고 있다"며 "물에 층이 생겨 온도·밀도 차이가 큰 '성층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빈산소·무산소층의 강바닥을 형성, 생물 서식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대 농생명과학공동연구원(NICEM)에 분석·의뢰한 '영산강 퇴적토·수질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하고 "2009년 대비 올해 영산강의 '유해 중금속' 농도와 '퇴적토 총인(부영양화 시키는 유기물)' 농도의 수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퇴적토 총인 농도 수치가 높을수록 부영양화를 일으켜 어류 패사와 녹조 발생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단체는 밝혔다.

단체들은 "영산강 승촌보 구간에서 검출된 구리는 342배(0.127㎎/㎏→44.7㎎/㎏), 납은 9.1배(4㎎/㎏→37.3㎎/㎏) 증가했으며, 죽산보 구간에서도 카드뮴은 5.2배(0.063㎎/㎏→0.33㎎/㎏), 납은 29.6배(1.0㎎/㎏→30.6㎎/㎏)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소의 경우 4대강 사업 이전에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심한 오염'에 달하는 수치로 확인됐다"며 "퇴적도 총인 수치도 2009년에 비해 14.9배 증가해 '심각하고 명백한 오염 상태(국립환경과학원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상 4등급)'라는 사실이 증명됐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죽산보·승촌보 상류 지점 표층의 용존산소(DO·물에 있는 산소량) 수치는 9㎎/ℓ인 반면, 수심 4~5m 구간부터는 1㎎/ℓ도 되지 않은 무산소층을 형성하고 있었다"며 "산소 고갈에 따른 수질 악화, 녹조, 미세 퇴적물 쌓임, 어류 집단 폐사 등이 영산강 중·상류 지점까지 일어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4대강 보 수문 상시 개방, 수심별 수질 심층 조사, 수질 및 토양 정화·조류 대책 마련, 흐르는 강 복원 등을 환경당국에 요구했다.

이에 대해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설명 자료를 내고 "환경부에서 실시한 영산강 보 구간 수심별 정밀조사 결과, 1년 중 성층이 형성되는 7~9월 중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는 저층 빈산소 현상(DO 2㎎/ℓ 이하)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환경단체가 비교한 2009년 자료는 환경 영향 평가서에 제시된 수치로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한 것"이라며 "올해 4대강 조사위원회에서 조사한 수치는 '퇴적물 분석법'에 따른 것으로 양 수치를 비교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덧붙였다.

환경청은 "영산강 보 구간 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해 나가고 있으며, 검증이 마무리되는대로 그동안의 측정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라며 "필요 시 민·관 공동 조사를 추진해 의혹을 해소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