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산재 사망 100여 명 줄었다지만…'작은 산재' 묻히기도

입력 2020-01-08 21:19 수정 2020-01-08 21:35

"내 몸인데 치료도 못 해"…산재에 울고 '은폐'에 또 울고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내 몸인데 치료도 못 해"…산재에 울고 '은폐'에 또 울고


하청 노동자 김용균 씨 사망 (2018년 12월)

'위험 외주화'의 민낯…그가 남긴 유산

도급인 책임 범위 넓힌 '김용균법' (*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이달 16일 시행

지난해 소규모 건설현장 3만6000곳 순찰 점검·감독

올해 제조업 포함 6만 곳으로 확대

지난해 산재 사고 사망자 855명
1년 새 116명 줄어, 첫 800명대

관리·감독 성과? 건설업 부진 영향?

그런데 OECD 국가 중 산업재해 사망률 1위

여전히 갈 길 먼 '산재 공화국'

[앵커]

보신 것처럼 산업 재해가 줄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최악의 산재 사망 국가입니다. 작은 산재 사고들이 은폐되면서
산재 공화국이란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습니다.

산재를 당해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는 노동자들의 아픔을 배양진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크레인으로 옮겨야 하는 철제 빔을 사람이 옮기다 사고가 났습니다.

[김모 씨/산재 피해 노동자 : 내려놓고 일어나는데 (허리가) 탁 터지는 느낌인 거예요.]

수술비가 없어 산재를 신청했지만 도움을 받기 힘들었습니다.

[김모 씨/산재 피해 노동자 : (진술을) 못 해주겠다. 나도 겁이 난다. 회사가 나한테 어떤 짓을 할지 겁난다…]

원청 회사는 업무 지시를 안 했다고 잡아떼고 있습니다.

[김모 씨/산재 피해 노동자 : 제 몸이라도 치료도 못 받아요. 아무리 일회용품이라도 이렇게 버리면 안 되잖아요.]

김씨만 겪는 일이 아닙니다.

2015년 우리나라에선 산재로 목숨을 잃은 노동자의 수가 유럽연합보다 3배 많았습니다.

그러면 전체 산재 건수는 어땠는지 한 걸음 떨어져서 볼까요.

이렇게 유럽연합이 3배 더 많았습니다.

우리나라 노동자들은 사고만 당하면 숨질 확률이 더 높았던 겁니다.

단순히 운이 나빠서였을까요?

유럽연합의 통계대로라면 사망자가 많은 우리나라의 재해 건수는 최대 열 배는 더 많았어야 합니다.

통계에 잡히지 않은 나머지 사건들은 앞선 김씨 사례처럼 은폐되고 있을 수 있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묻혀버린 작은 산재가 중대 재해로 돌아올 수 있다고 말합니다.

작은 사고라도 현장 조사를 해 원인을 고쳐야 하는데 그럴 기회가 없다는 겁니다.

중대 재해는 책임을 엄격히 묻고 작은 산재는 보험료 할증 폭을 낮추는 등 신고 부담을 줄여 줄 필요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영상디자인 : 신재훈 / 영상그래픽 : 박경민)

관련기사

갑질도 산재도 '홀로 감당'…사각지대 놓인 청소년 노동자 산재사망 보고서 속…노동자 목숨 앗은 '사소한 이유' 끊이지 않는 크레인 사고, 또…인천서 노동자 2명 숨져 화염과 '맨손 사투' 노동자들…노동 안전 사각 여전 여의도 공사장, 3달 만에 또 땅꺼짐 사고…노동자 1명 사망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