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김정은 답방 연내 가능할까…청와대 의지표명에도 북미회담 변수

입력 2018-11-03 17:36

북미정상회담 내년초 개최 예상 속 청와대 "조기답방 틀림없어" 기대감 여전

북미, 내주 고위급회담 앞두고 '기 싸움'…회담 결과 따라 현실화 가늠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북미정상회담 내년초 개최 예상 속 청와대 "조기답방 틀림없어" 기대감 여전

북미, 내주 고위급회담 앞두고 '기 싸움'…회담 결과 따라 현실화 가늠

김정은 답방 연내 가능할까…청와대 의지표명에도 북미회담 변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두 달이 채 남지 않은 올해 안에 서울 땅을 밟을 수 있을까.

김 위원장이 분단 이후 북한 지도자로는 최초로 대한민국의 심장부인 서울을 찾는다는 것은 남북 정상 간 합의 내용을 떠나 한반도 비핵화는 물론 남북관계 진전에 일대 획을 그을 사건으로 기록될 일이다.

수차례 이뤄진 한국 대통령의 평양 방문보다 큰 의미를 갖는 상징성 때문에 한반도 정세를 놓고 훨씬 깊은 논의가 이뤄질 공산이 크고, '한반도의 봄'을 앞당기는 결정적인 이벤트가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남북 정상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약조했기에 청와대는 기대가 섞인 그 가능성을 여전히 작지 않게 보고 있는 게 사실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1일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의 조기 답방은 틀림없다고 본다. 연내에 조기 답방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답방을) 꼭 북미정상회담과 연결해 생각할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전이라도 답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함의하는 의미가 작지 않고, 남북 정상이 연내라는 시점을 문서로 합의한 이상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묻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같은 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김 위원장 답방이 2차 북미정상회담보다 앞설 수 있느냐'는 질문에 "제가 지금 답변드리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지난달 22일 김 대변인은 같은 질문에 "예정대로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했었다.

열흘 사이에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풍기는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청와대 대변인의 '입'이 대통령의 의중을 공식적으로 반영하기에 청와대 내에서도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놓고 고심이 깊다는 방증으로 해석될 만한 대목이다.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가 관심을 끄는 것은 6월 1차 정상회담 이후 4개월 넘게 답보를 거듭해온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둬야만 그의 답방이 더욱 성과를 낼 수 있다는 현실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다.

미국도 남북관계 진전과 북미 협상의 '보폭 맞추기'를 원하고 있어 북미 간 매듭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답방은 청와대로서도 부담될 여지가 없지 않다.

이런 맥락에서 보자면 다음 주에 재개될 북미 고위급회담의 결과에 따라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도 결정되리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번 고위급회담에서 북미는 비핵화 타임테이블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각자 계산기를 두들길 것으로 보이며, 큰 틀에서 합의가 이뤄진다면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이라도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예정대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북미회담이 순조로울 것이라는 징후는 물론 있다.

김 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최근 방북 당시 미국 사찰단이 북한의 '중요한 시설' 두 곳을 볼 수 있도록 허용했다는 게 그것이다. 여기서 두 곳은 풍계리 핵 실험장과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으로 알려져 있다.

북핵 시설에 대한 국제사회의 검증이 비핵화 프로세스의 핵심요소 중 하나이기에 이는 북미회담에서 비핵화 로드맵을 타결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북미 고위급회담의 앞날이 순탄치 않을 우려 역시 제기된다.

북미 대좌를 앞둔 시점에 김 위원장이 "적대세력들이 우리 인민의 복리 증진과 발전을 가로막고 우리를 변화시키고 굴복시켜 보려고 악랄한 제재 책동에만 어리석게 광분하고 있다"며 미국을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폼페이오 장관도 1일(현지시간) 라디오 방송에서 "대북 경제제재는 그들(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제거했다는 점을 우리가 검증을 통해 확인할 능력을 얻을 때까지는 해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간만에 재개되는 북미 협상을 앞둔 기 싸움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지만, 고위급회담에서 제재완화를 둘러싸고 극심한 대립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이 지난 1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기적 같이 찾아온 이 기회를 놓친다면 한반도 위기는 더욱 증폭될 수밖에 없다"고 '노심초사'한 것도 지금이 비핵화 국면의 중대 국면으로 여겼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결국 북미 고위급회담의 성패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물론 종전선언을 통한 한반도 평화 진전의 본격화 여부에 대한 가늠자라는 측면에서 문 대통령의 시선은 내주 북미 대좌에 쏠릴 수밖에 없는 지금이다.

(연합뉴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