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전수조사 예산도 모자라…거리 활보하는 '결핵 환자'

입력 2016-08-09 20:53 수정 2016-08-09 22:4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결핵은 흔히 후진국 병이라고 불리지만 우리나라는 발생률과 사망률 모두 압도적으로 OECD 국가 중 1위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결핵 환자와 함께 급증한 잠복결핵 보균자가 아직까지 줄지 않고 있는데요. 국민 3분의 1 정도는 언제 발병할지 모르는 잠복결핵을 가지고 있고 이 가운데 10%는 면역력이 약해지면 갑자기 결핵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1명의 환자가 1년에 10명에게 감염시키니 잠복결핵 보균자가 줄지 않고 있는 겁니다. 정부는 잠복단계부터 결핵을 뿌리뽑겠다며 병원이나 어린이집 같은 집단시설 종사자는 의무적으로 잠복결핵 검사를 하도록 했는데, 문제는 예산이 아직 확보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구혜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8일 20대 간호사가 결핵의심 판정을 받은 고려대 안산병원.

역학조사를 한 결과 직원 2명이 추가로 잠복결핵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앞서 이대 목동병원과 삼성서울병원 등에서도 결핵 발병이 잇따랐고 경기도 광주의 한 어린이집에서는 원생 20명이 집단으로 잠복결핵에 걸리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정부는 지난 4일부터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 145만 명을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진을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전수 조사를 위해선 총 75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올해 결핵예방에 책정된 예산은 392억원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예산을 추가 확보할 때까지 기존 직원들의 잠복결핵 검진은 강제하지 않을 전망입니다.

6개월 간의 결핵 치료를 도중에 중단하는 환자들이 많지만 치료를 강제할 방법이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2가지 이상의 약이 듣지 않는 내성결핵, 이른바 '슈퍼 결핵' 환자가 지난해 787명이나 발생한 것도 결핵약 복용을 중단한 환자들이 거리를 활보했기 때문입니다.

[이재갑 교수/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 약제 복용이 불량하거나 힘들어하시는 분들은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약제 투여를 관찰하는 방법을 동원하는 것도 해결책입니다.]

결핵 후진국 오명을 벗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과 예산편성이 시급해 보입니다.

관련기사

삼성서울병원 '결핵 간호사' 역학조사 이틀째…"추가 환자 없어" 의료진 잇따라 '결핵 감염'…소아병동·어린이집까지 내일부터 학교·어린이집·의료기관 종사자 결핵검진 '의무'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결핵 확진은 없지만'…잠복감염자 다수 확인 산후조리원만보다 못한 병원 결핵 예방 수준…땜질식 행정 논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