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북한 안전 보장"…'DMZ 국제평화지대 구상' 배경은?

입력 2019-09-25 07:15 수정 2019-09-25 09:1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으로 칼이 쟁기로 바뀌는 기적이 한반도에서 일어나길 기대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같은 말로 17분 동안의 유엔총회 연설을 마무리 했습니다. 이번에는 뉴욕 유엔본부를 연결해서 문 대통령의 평화지대 구상 배경 등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안의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국제평화지대 구상, 어떤 배경에서 나왔을까요?

[기자]

문 대통령은 한마디로 북한의 안전을 제도적이고 현실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동시에 우리나라도 항구적인 평화를 얻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임박한 북·미 간 실무협상에서 북한의 안전보장이 핵심 과제가 됐는데 이를 실천하기 위한 과제를 선행적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를 풀기 위한 3가지 원칙도 제시했잖아요. 상호간 안전보장도 이 중의 하나죠?

[기자]

네, 3가지 원칙은 한반도에서 두번 다시 전쟁의 비극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전쟁 불용의 원칙, 한국은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고 북한도 한국의 안전을 보장하길 원한다는 상호간 안전보장의 원칙, 서로 공동 번영을 위해 협력하는 게 진정한 평화라는 공동번영의 원칙인데요.

상호간 안전보장의 원칙의 취지를 설명하는 문 대통령의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서로의 안전이 보장될 때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제 평화지대 구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24일) 북한에 무력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다시 확인한 것과도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다, 이렇게 볼 수 있겠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어제 한·미정상회담 이후 두 정상은 "북한에 대해 무력을 행사하지 않는 기존의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설명했는데요.

앞으로 진행될 북·미 실무협상에서 북한의 안전보장을 의식한 발언인데, 문 대통령은 이를 앞장서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이번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드러낸 것입니다.

[앵커]

그런데 사실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겠다는 것은 이번에 처음 나온 구상은 아닙니다. 그런데 지금 이 시점에서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 연설에 담은 배경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비핵화 협상은 진전될수록 북한은 영변 핵시설 폐기 등을 행동으로 보여줘야 하지만 미국은 북한의 안전보장을 약속으로 제시하는 구조입니다.

북한이 연락사무소 개설이나 불가침 협정 등 구체적인 약속으로 보여달라고 미국을 압박하는 이유도 그런 배경에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는 방안을 청와대가 고민했고 그 결과 이번 연설 내용에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담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기사

한·미 "싱가포르 정신 유효"…3차북미회담 필요성 공감 임박한 북미대화…한·미 "대북 무력행사 없다" 시그널 트럼프 "김 위원장 곧 만날 수 있다"…3차 회담 개최 의지 국정원 "김정은, 11월 부산 한·아세안회담 참석 가능성" 국정원 "북미 실무협상 2∼3주내 재개…연내 3차 정상회담 가능"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