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박근혜 욕심이 만든 밀실합의…'불가역' 표현도 뒤집혀

입력 2017-12-27 20:17 수정 2017-12-27 20:33

국정원이 나서 일본과 '밀실합의'
불가역적 사죄, 밀실서 불가역적 '해결'로 둔갑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국정원이 나서 일본과 '밀실합의'
불가역적 사죄, 밀실서 불가역적 '해결'로 둔갑

[앵커]

그렇다면 이런 결과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무엇이 있는가…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5년 안에 협의를 끝내기를 원했고 이 때문에 일본의 무리한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문제의 '불가역적'이란 표현도 그래서 들어간 걸로 나타났습니다.

유선의 기자입니다.


[기자]

한일 정부는 2014년 4월 양국 외교부의 국장급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협의는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고, 양국 정상은 2015년 2월 고위급 비공개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한국은 이병기 국정원장, 일본은 야치 쇼타로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장을 대표로 내세웠습니다.

주무부처인 외교부는 이 밀실합의에 참여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오태규/한·일 위안부 합의 검토TF 위원장 : 위안부 합의는 고위급 비공개 협의에서 주로 이뤄졌고 (외교부) 국장급 협의는 조연에 불과했습니다.]

밀실에서는 2달 만에 사실상 합의가 타결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문제의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은 당초 우리 측 요구와 전혀 다르게 쓰였습니다.

외교부는 일본에 불가역적인 사죄, 즉 되돌릴 수 없는 사죄를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밀실에서는 일본이 요구한 대로 불가역적인 해결로 둔갑했습니다.

이번 합의를 통해 모든 게 해결됐으니 다시는 문제삼지 말라는 뜻입니다.

외교부가 반대했지만 청와대는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청와대는 국제 사회에서 위안부 발언을 하지 말라고 외교부에 지시하기도 했습니다.

일본은 위안부 문제 협의 중 군함도 유네스코 등재를 시도하는 등 뻔뻔한 모습을 보였지만, 박 전 대통령은 연내 타결을 압박했고 결국 우리가 끌려다니게 된 겁니다.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은 조사 결과 발표 후 피해 할머니들이 고령이라 합의가 시급했고 피해자 대다수가 화해치유재단 사업을 수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최수진)

관련기사

일본 외무상 "위안부합의 변경 시도시 한일관계 관리 불가능" 일본, 위안부TF 발표에 어떻게 대응할까…즉각 '강경대응' 피할듯 '해외소녀상' 관련 이면합의…"고위급 비공개 협의서 이뤄져" 일본 관방 "한국정부에 위안부 합의 이행 강력 요구할 것" 위안부TF 결과 발표일 정대협 수요집회 "한일합의 폐기해야"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