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김 위원장 답방' 변수는?…문 대통령 '중재자' 역할 주목

입력 2018-12-01 20:2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나온 내용들 짚어볼 부분이 많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희정 기자, 일단 김정은 위원장 서울 답방 문제는 이제 북한으로 공이 넘어간 상황이죠. 그렇다고 해서 북한이 덜컥 "서울을 가겠다" 이렇게 말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 아니겠습니까?
 

[기자]

네, 답방을 준비를 하는 우리의 여건과는 또 별개로, 북한은 여러가지 고민을 해야할 것입니다.

우선, 북·미가 비핵화 협상에서 아직까지도 합의점을 못 찾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변수인데요.

그러니까 북한 입장에서는 제재 완화 요구에 미국의 반응이 없는데, 먼저 다음 단계를 얘기하는 것이 부담스럽고 힘든 상황인 것입니다.

물론 비핵화 협상이 잘 돼서 성과를 내고 나서 서울에 오면 좋겠지만 당장은 쉽지 않기 때문에, 김 위원장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오히려 서울 답방 카드를 쓸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앵커]

교착 상태에 빠진 비핵화 문제를 풀기 위해 오히려 남북 정상회담을 지렛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거군요. 그런데 김 위원장이 이런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또 중요한 것이 북한 내부의 상황 아니겠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최근 "2019년에 대북제재 효과가 확산하면서, 북한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이런 사정을 고려해 방남 결심을 할 것이다, 이렇게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결국 문 대통령이 과연 어떤 중재안으로 김 위원장을 설득할 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따라서 이런 상황때문에 "지금 바로 대북 특사를 보내서 미국 입장을 전달해야 하는 것 아니냐" 이런 지적도 나옵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에 한·미 정상회담에서 또 나온 중요한 대목이 한·미 정상 둘이 '완전한 비핵화가 먼저'라는 원칙에 공감했다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반면에 북한은 비핵화에 대한 어떤 상응 조치를 미국이 해줘야 한다, 이렇게 요구를 해오고 있었던 것이잖아요. 어떻습니까,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메시지가 대화에 어떻게 영향을 줄까요?

[기자]

지금까지의 비핵화 협상 과정을 보면요. '비핵화가 먼저냐 상응조처가 먼저냐' 사실 이 논쟁이 계속 발목을 잡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한·미 정상이 '완전한 비핵화가 먼저'라는 원칙에 일단 한 목소리를 내면서, 선후관계 논란을 좀 해소된 측면이 있고요.

또 최근 남북 관계가 북·미 협상보다 지나치게 앞서가는 것 아니냐는, 이런 일각의 우려를 정리한 효과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북·미 사이 신뢰관계를 강조하면서 중재자의 역할로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G20 회의 중간에 진행돼서 시간적으로 여유는 없었지만, 그래도 상당히 중요한 시기에 이뤄진 만남이기 때문에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봐야되겠죠?

[기자]

이번 회담은 배석자없이 단독으로, 약 30분 정도 진행이 됐습니다.

짧지만, 핵심 의제만 딱 뽑아 두 정상이 얘기를 한 거죠.

그래서 회담 직전에 '풀 어사이드'형식을 놓고 또 일각에서 격 논란, 홀대 논란이 일기도 했는데, 청와대는 "백악관 측이 배석자 없이 통역만 대동한 단독회담을 제안해 논의했던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한·미 정상 "김 위원장 답방 필요성 공감"…'제재 원칙' 재확인 김 위원장 '연내 서울 답방' 탄력…청와대 "다 열어놓고 대비" 북 김정은, 2주만에 공개활동…동해안 어업기지 시찰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