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재미보다 수익"…게임업체, 꿈 대신 돈만 쫓게 된 이유

입력 2016-08-03 21:2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국내 업계가 게임을 개발할 때 재미보다는 수익성을 추구하게 된 관행은 어디서부터 시작됐을까요? 대형 업체들은 개발에 무관심해졌고, 소규모 회사들은 대형사 입맛에 맞는 게임을 만들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김태영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주 대표/NXC(지난달) : 모든 조사 과정을 성실하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김정주 넥슨 창업주는 대학 동기인 진경준 검사장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넥슨 재팬의 등기 이사직도 내려놨습니다.

벤처 1세대 신화로 불리던 김 창업주가 넥슨 설립 20년 만에 물러난 모습은 명예롭지 못했고 넥슨에도 악재가 됐습니다.

[위정현 소장/콘텐츠경영연구소(중앙대 교수) : 제품 개발 이것보다는 주로 M&A 같은 머니게임으로 넥슨이 치달았고. 결과적으로 머니게임을 더 넘어가서 이런 정경유착적인 행태를 보임으로써 넥슨의 위기를 자초했다는…]

넥슨 뿐이 아닙니다.

게임 업계 전반의 낡은 관행이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습니다.

벤처로 시작해 규모를 키운 대형 업체들은 개발보다는 성공한 게임사의 인수와 대신 마케팅을 하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김환민 사무국장/게임개발자연대 : 대기업들은 퍼블리셔로 전환을 하고 있고요. 개발사들은 전부 다 아래 자회사 혹은 아니면 계약하는 형식으로 빼고 있습니다. OOO 경우에는 본사에 사실상 개발팀이 없어요.]

자회사나 소규모 개발 업체가 게임을 개발하면 이를 마케팅하는 이른바 '퍼블리싱' 사업에 초점을 둔 겁니다.

그러나 소규모 업체들 역시 새로운 게임 개발이 쉽진 않습니다.

[김성완 교수/부산게임아카데미 : 국내를 대표하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인 카카오 같은 경우 입점하기 위한 요구들이 까다롭고 정해진 비즈니스 모델의 틀에 맞춰야…]

특히 중소 업체들은 일부 대기업의 요구를 무시하기 어렵다고 호소합니다.

[최경빈/게임개발업자 : 워낙 시장 자체가 퍼블리싱 없이는, 마케팅 파워 없이는 작은 규모의 게임사들이 게임성으로만 올라가기에는 운도 많이 따라줘야 하고…]

결국 대형 업체들 입맛에 맞는 게임을 개발해야 살아남는 하청과 유사한 사업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는 겁니다.

여기에 게임이 성공하더라도 수익을 제대로 보장받기 어렵다고 합니다.

[김환민 사무국장/게임개발자연대 : 매출이 100억이 나왔다고 해도 매출이 4억 9000만 원이 되는 상황인 거죠. 개발사가 개발사 자체로 성장하기보다는 개발자가 결국 퍼블리셔 내부에 종속되는 과정으로써…]

이러한 구조가 게임 산업 전반의 위기로 이어졌다는 겁니다.

국내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해외 게임 2개의 점유율은 절반이 넘습니다.

모바일 게임 역시 매출 순위에서 중국 등 해외 게임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포켓몬 고 열풍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게임산업 육성에 99억 원을 추가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하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이재홍 회장/한국게임학회(숭실대 교수) : 현실에 안주해 있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고 글로벌 세계의 주도권을 위해서 획기적인 킬러 콘텐츠를 만들어나갈 의지력도 없었지 않았나…]

특히 게임 강국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선 수익성 위주의 개발 관행과 하청처럼 얽혀 있는 생태계를 격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현질만 고' 아이템에 수십만원…외면받는 국내 게임 '검사장 진경준' 구속기소…검찰, '자체 개혁안' 반복 검찰, 김정주 의혹은 계속 수사…기업비리 확대 가능성 [김앵커 한마디] '권력형 벤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