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소비자 물가 0%인데 왜 '체감 물가'는 높을까

입력 2015-10-21 16:1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개월째 0%대를 이어가고 있지만, 일반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통계청의 물가 조사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

유경준 통계청장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소비자물가와 체감물가 사이에 괴리가 생기는 요인에 대해 설명했다.

유 청장은 "소비자물가 조사는 가상의 평균 가구에 대해 하는 것이고 체감물가는 실제 개별가구가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며 "우리는 전 가구를 대표해서 481개 품목에 대해 평균으로 물가를 측정하지만 개별가구마다 집중적으로 쓰는 품목은 다르다"고 말했다.

유 청장은 "최근 물가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게 자용차 연료 가격 하락인데 자동차가 없는 가구는 이것을 체감하지 못한다"며 "난방 가격의 경우에도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등을 평균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통계를 작성하지만 실제 가구는 이중 한 품목만을 소비하기 때문에 체감물가가 각각 다르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체감 물가 격차도 큰 편이다. 지난 9월 지역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서울(1.3%)은 전 지역 평균(0.6%)의 2배가 넘었지만 충북(-0.4%), 전북(-0.3%), 경북(-0.2%) 등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거주 지역, 가구원 수, 소비 특성 등의 조건을 지정해 9월 물가상승률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가구별로 최대 3%가 넘는 격차가 났다.

서울에 살면서 가구원 수가 3명인 가구는 물가상승률이 2.1%까지 계산됐지만 전남·경북에 살면서 가구원수가 1명인 가구는 물가가 오히려 1.2% 하락했다.

전월세 가격 상승도 체감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통계청은 매달 지출 비중이 높은 142개 품목을 대상으로 생활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올해 들어 생활물가 상승률은 3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해 오히려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낮았다.

하지만 전월세 가격을 포함한 생활물가 상승률은 1분기 -0.2%, 2분기 0.0%, 3분기 0.3% 등으로 점차 상승하는 추세다.

통계청은 또 심리적 요인도 소비자물가와 체감물가 간 차이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구입 빈도가 높은 제품의 가격 변동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보다는 상승한 품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도 있다.

또 소비자물가는 1개월 또는 1년 전의 물가 수준과 비교하지만 체감물가는 물건 값이 가장 쌌던 시기나 최근 구입 시기와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가격이 오르는 품목 수가 늘고 있는 것은 체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최근 물가는 유가 등 일부 품목에서 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상당수의 생활물가 품목은 오히려 가격이 오르는 추세다.

지난해 생활물가 상승률은 0.8%, 평균 등락률 이상 품목은 82개였다. 반면 올해에는 생활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지만 평균 등락률을 넘는 품목은 100개를 넘고 있다

통계청이 가격상승 품목에 1.5배에서 2.5배까지 가중치를 적용하자 올해 3분기 물가 상승률은 최소 1.5%에서 최대 3.0%까지 계산됐다.

통계청이 물가 계산시 사용하는 가중치가 빠르게 변하는 국민들의 소비 패턴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유 청장은 "사회가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가중치가 현실화돼야 하는 측면도 있다"며 "지금은 5년 단위로 가중치를 변경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2~3년에 한번씩 바꿔 가구의 소비 구조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