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밀착카메라] 지진에 정말 안전?…대피소 긴급 점검

입력 2016-09-13 21:3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어젯(12일)밤 지진이 발생했을 때 많은 분들이 '대체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고민 많이 하셨을 겁니다. 일단 쉽게 떠오르는 건 집 주변 학교 또는 정부나 지자체가 지정한 비상대피소일 테죠.

그런데 정말 심각한 지진이 덮쳤을 때 이런 장소들은 안전한 건지, 저희 밀착카메라 기자 3명이 서울시내 대피장소들을 긴급 점검했습니다.

[기자]

어제 저녁 지진이 발생했던 경주의 한 시민이 받은 긴급재난문자입니다. 지진이 발생했으니 안전에 주의바란다' 는 내용인데요.

그런데 정작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는 안내하지 않아 많은 시민들은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과연 서울시내에는 지진이 났을 때 안전한 대피시설이 있을까요? 저희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국민안전처의 '지진발생시 국민행동요령'에는 대피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없습니다.

과연 많은 사람들이 대피했던 학교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

서울 마포구 한 초등학교로 와봤습니다. 학교 건물은 실제로 지진 났을 경우에 가장 우선적으로 대피시설로 안내하는 곳이기도 한데요.

지진이 났을 때 학교 운동장과 건물은 안전한지 지금부터 따져보겠습니다.

이 학교는 1974년도에 설립돼, 내진설계가 돼있지 않았습니다.

인근 또 다른 학교도 가봤지만 건물 상황은 똑같습니다.

[학교 관계자 : 내진설계는 안 돼 있습니다. (여기로 대피하면 위험하겠네요?) 그렇죠.]

이 때문에 특히 이 학교처럼 운동장이 좁은 경우에는 건물 주변에 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서울시 전체 초중고교 학교 가운데 내진설비가 된 것은 26.6%에 불과합니다.

학교들의 내진설계 미흡한 상황에서 시민들이 생각해낼 수 있는 다음 지진 대피소는 민방위 대피소입니다.

민방위 대피소는 모두 2만 3000여 개로 대부분 민간 건물에 있습니다.

국민안전처 홈페이지에서 소개된 주변 대피소를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긴급 상황 시에 대피소로 지정돼 있는 한 건물 앞에 나와 있습니다. 언뜻 봐서는 대피소라는 걸 쉽게 알 수가 없는 상태인데요.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서 한 번 살펴보면 이렇게 '공사 중이어서 외부인의 내부사용을 삼가 해 달라'는 안내문만 붙어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대피소를 가리키는 안내판은 어디 있는 걸까요.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이렇게 건물 구석에 작은 크기로 붙어있어서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국민안전처 홈페이지에 지하철 연결통로가 있다고 소개된 한 상가 건물 대피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이곳 역시 건물 한 켠에 붙은 작은 표지판만 이곳이 대피소임을 알려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피소가 지하철 역사와 이어져 있다는 안전처의 설명도 사실과 다릅니다.

[해당 상가 상인 : 대피소라고 붙인 거 떨어져 있던 적도 있었어. 내가 그냥 다시 붙였어.]

그럼 대피소 내부의 환경은 어떨까요.

출입구에 대피소라고 안내 표지판이 부착된 이곳은 서울 영등포 지하상가입니다.

자연 재해 발생시 피해 복구를 기다리며 시민들이 하루 이상 머물 수 있도록 장기 대피소로 지정된 곳이기도 합니다. 안쪽으로 들어왔습니다.

평소에 시민들이 지나다니는 이 통로가 바로 비상시 대피소로 활용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상가 대부분이 통유리로 돼 있습니다.

지진 발생시 대피소로 활용할 수 있을지 점검해 보겠습니다.

이 지하상가는 6 리히터 규모의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하상가 관리자는 이곳이 지진 대피소로 부적합하다고 말합니다.

건물 붕괴로 출입구가 막히거나 전기 합선 등으로 불이날 경우 지하인 이곳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서울시설관리공단 관계자 : 밖으로 나가야죠. 여기 있다가 매몰되면 어떡해… 출구 무너지면 방법이 없잖아요.]

대피소라는 말만 믿고 무작정 대피해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대피소 대부분이 전쟁용 대피소이지, 자연 재해용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이영주 교수/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 (자연재해)대피소로서 기능을 못하는 곳이 있거든요. 특정 재난에 관한 대피소의 개념을 도입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피소를 찾기 힘들거나 막상 가도 지진 대피소로 마땅치 않은 곳이 대다수였습니다.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시민들이 안심하고 지진에 대처할 수 있도록 대피소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합니다.

관련기사

[밀착카메라] 가을운동회 코앞…방치된 '중금속 트랙' [밀착카메라] '쪽방'서도 밀려난 청춘들…주거난 실태 [밀착카메라] 무인도서관…텅 빈 서가, 뻥 뚫린 양심 [밀착카메라] '생활도로' 점검해보니…속도제한 무색 [밀착카메라] 잡초 무성한 테마공원…관람객도 '외면'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