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앵커브리핑] '라면의 정치경제학'

입력 2018-12-17 22:00 수정 2018-12-17 23:5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뉴스룸의 앵커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1963년의 초가을…

사람들의 화젯거리는 처음 보는, 그래서 생소한 먹을거리였습니다.

바로 '라면'.

운이 좋았는지 어땠는지 그 생소한 식품이 처음으로 나온 바로 그날 저희 집 식구들도 둘러앉아 후후 불어가며 마치 새로운 문명을 접한 이방인들처럼 신기해하며 먹었더랬습니다.

꼬불꼬불한 면발의 이 인스턴트 식품은 단박에 한국사회의 식문화를 바꿔 놓았지요.

"인스턴트 라면을 끓일 물만 있으면
신의 은혜를 받을 수 있다" 
- 뉴욕타임스


아니, 사실은 식문화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63년 초가을의 어느 날 점심 때까지는 모든 사람들이 이 꼬불꼬불한 면발의 새로운 식품이 그 이후의 세상을 그렇게 정치경제학적으로 지배하게 될 줄은 몰랐던 것이지요.

그로부터 대략 10년이 지나 라.보.때.라는 신조어가 태어납니다.

라보때란, '면으로 통 끼니를 운다'의 줄임말.

산업화가 한창이던 1970~80년대 구로공단에서 시작돼서 모든 배고픈 젊은이들의 유행어가 됐습니다.

하루 24시간 쉼 없이 미싱이 돌아가던 시절에, 공단의 여공들은 아침조와 저녁조가 함께 방을 빌린 2부제 셋방에서 라면을 끓여 먹으며 고된 노동을 버텨냈습니다.

하필 그 면발은 그리 소화가 잘되지를 않아서 찬밥 덩이와 함께 말아 먹으면 꽤 오래 더부룩하게 남아 있었고, 그것이 노동 중의 배고픔을 되레 잊게 해주었다는 씁쓸한 분석까지 겸하여…

"김이 무럭무럭 나는 큰 냄비를… 올려놓고 둘러앉았을 때 상하좌우의 눈치를 봐가며 젓가락을 놀려야 한다. 그 눈치가 라면의 맛을 배가시킨다."
- 안도현 < 라면 예찬 >

시인의 라면 예찬은 어찌 보면 고달픈 시절의 아픈 기억을 약간의 호사로 재구성한 추억담…

그러나 청년의 라면은 급하게, 그리고 혼자서 채워야 하는 끼니였습니다.

2년 전 구의역의 김 군에게나 그리고 오늘날 태안 화력발전소의 김 군에게나…

그래서 그들이 남긴 것은 미처 속을 채우지 못한 라면…

강요된 1인 노동과 남겨진 라면들…

시대가 바뀌었어도 변하지 않은 노동과 이를 버티게 하는, 혹은 버티지 못하게 하는 라면의 정치경제학.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