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비하인드 뉴스] 홍문표 "사무총장에게만 책임 묻나"…'왜 나만 갖고'

입력 2018-12-17 22:20 수정 2018-12-18 12:0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비하인드뉴스를 시작하겠습니다. 박성태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조금 시간이 급해졌네요? 열어볼까요?

[기자]

첫 키워드는 < 왜 나만 갖고… > 로 잡았습니다.

[앵커]

오랜만에 들어보는 단어, 문장인 것 같기도 하고.

[기자]

왜 나만 갖고 그래, 이런 맥락인데요.

지난 토요일 자유한국당이 21명의 현역 의원에 대해서 인적쇄신 대상에 올렸습니다.

국정농단 책임으로 친박 핵심들 또 분당사태를 두고 비박계도 올랐는데요.

지난 지방선거에서 당 사무총장을 맡았던 홍문표 의원이 대체 나는 왜 들어갔냐라고 반발했습니다.

그 얘기를 들어보겠습니다.

[홍문표/자유한국당 의원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 당대표나 원내대표가 책임을 지고 정책위의장이나 이런 정도였고…쭉 관례가 있는데 지방선거의 총책임을 사무총장에게만 지우는 모습은…]

왜 당대표나 원내대표는 책임을 안지고 나만 갖고 그러냐, 그래서 조강특위에 있었던 김용태 현 사무총장에게 전화로 따지려 했는데 전화를 받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앵커]

흔히 당지도부 하면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순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그다음이 사무총장 그렇게 되나요? 

[기자]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에 당 지도부의 면면을 보면 홍준표 대표가 있었고 김성태 원내대표, 함진규 정책위의장 그리고 홍문표 사무총장입니다.

그런데 앞선 3명은 이번 인적 쇄신 대상에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조강특위에서는 홍준표 전 대표의 경우 현역 의원도 아니고 당협위원장도 아니어서 배제됐다고 하는데 당협위원장이 아닌 현역 의원들도 앞으로도 못 맡는다라고 해서 인적쇄신 대상에 올랐는데 굳이 현역이 아니라는 이유로 배제했다는 것은 납득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성태 원내대표의 경우도 사실 비대위를 꾸린 주역이기 때문에 빠진 것 아니냐라는 해석도 당에서 나왔습니다.

[앵커]

두 번째 키워드는요?

[기자]

두 번째 키워드는 < 이부자리는 놓고… > 로 잡았습니다.

[앵커]

이것은 또 무엇입니까?

[기자]

바른미래당의 이학재 의원이 내일(18일) 탈당, 바른미래당을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입당하는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입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당연히 불쾌한 심정을 그대로 내비쳤는데요.

직접 얘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는 거죠. 근데 절에서 덮으라고 준 이부자리까지 들고 가는 거는 법에 없죠.]

[앵커]

은유법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학재 의원은 얼마 전부터 사실상 탈당을 예고해 왔고요.

탈당하면서 현 정보위원장.

상임위원장 중에 정보위원장을 맡고 있는데 이 직도 가져가겠다라고 입장을 밝힌 바가 있습니다.

손 대표는 갈 테면 가는 것은 상관없는데 상임위원장 자리는 정당 몫이니 놓고 가라고 한 것입니다.

[앵커]

이런 것은 무슨 규정 같은 거 없나요?

[기자]

국회법에는 규정이 없습니다.

원래 상임위원장을 배분할 때는 정당별로 의석수 기준으로 배분을 하게 되는데 나중에 상임위원장을 사임하는 것은 본인이 내려놓지 않으면 본회의 전체의 동의를 얻지 못하거나 하면 따로 뺏을 수가 없습니다.

과거의 전례를 보면 2015년에 민주당에서 당시 몇몇 의원이 국민의당을 창당하면서 빠져나올 때 상임위원장직을 가지고 갔었고요.

지난해 자유한국당에서 일부 의원들이 바른정당을 창당할 때 역시 세 자리의 상임위원장 자리를 가지고 나가서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그런데 의원 1명이 나간 것이 아니라 여러 의원들이 창당 수준으로 나갔기 때문에 의석 수를 생각하면 나름 지분이 있겠거니 했었는데 이번에는 이학재 의원 혼자 나가면서 상임위원장 자리를 가지고 가서 바른미래당에서 불만이 높습니다.

[앵커]

아무튼 이부자리까지 가져나간다는 것은 좀 재미있는 비유인 것 같기는 합니다. 마지막 키워드는요?

[기자]

마지막 키워드는 < 순서 틀린 '사과문' > 으로 했습니다.

[앵커]

누구의 사과문입니까?

[기자]

서부발전의 사과문인데요.

오늘 한겨레신문의 한 광고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자세히 보면 제목은 고인의 명복을 빌며 국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돼 있고요.

날짜는 오늘이고 맨 마지막 문장에도 유가족과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돼 있습니다.

지난 11일 서부발전의 태안발전소에서는 하청업체의 비정규직 노동자인 고 김용균 씨가 사고로 숨졌습니다.

이에 대한 서부발전의 사과문인데요.

문제는 정작 아직 서부발전이 고 김 씨의 유족에게는 사과 입장을 밝히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앵커]

반대했었잖아요? 노조 쪽에서.

[기자]

그렇습니다. 사과하려고 제가 그래서 그 연유를 좀 물어보니까 서부발전 측에서는 서부발전의 사장이 사과하려고 3차례나 고 김 씨의 빈소를 찾았는데 유족들이 반대하면서 빈소에 들어가지 못했고 사과를 못 했다라고 했습니다.

[앵커]

그래서 순서가 바뀌었다는 것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런데 정작 유족에게 사과를 못 하고 국민께 사과문부터 먼저 내는 것은 순서가 안 맞지 않느냐라는 지적이 있고요.

실제 비정규직연대에서도 이에 대해서 언론플레이다라고 얘기를 했는데요.

직접 그 입장을 들어보겠습니다.

[박준선/발전비정규연대회의 상황실장 : (사장이) 유가족분들께서 얼굴을 보고 싶지 않다고 하셔서 돌아갔습니다. (그러니까) 언론사 기자들한테 메일 보내서 사과했다고 하는 것은 사과가 아니라 언론플레이입니다.]

[앵커]

저것이 문제군요? 그러니까 미리 기자들한테 우리 사과했다라고 알려버린 것.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 보면 신문에는 오늘 났고 기사도 오늘 났는데요.

어제 저녁 7시에 기자들에게 미리 사과문을 메일로 보냈고요.

사실 회사 홈페이지에도 오늘 오전에서야 올라갔습니다.

그러니까 국민께 드리는 사과문이 사실 기자들에게 먼저 나갔었고요.

그러면 아무래도 보도에 더 신경을 썼다는 얘기고 정작 중요한 부분도 유족에게는 사과를 못 했었는데 진정성 있는 사과가 없기 때문에 받을 수 없다는 것이 유족과 노조의 입장이었습니다.

실제 사고 이후에도 서부발전의 진정성은 의심을 받았었는데요.

당시 김 씨의 직장 선배인 이성훈 씨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오늘 한 인터뷰에서.

사고가 난 뒤에 회사에서 전화해서 밑에 애들 입단속 잘해라, 기자들 만나면 인터뷰하지 마라, 이런 얘기부터 했다고 합니다.

[앵커]

모든 것이 거꾸로된 것 같은 그런 느낌입니다. 알겠습니다. 박성태 기자였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