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입국금지' 꺼리다…중국인 추가 확진에 분위기 급변

입력 2020-02-02 20:18 수정 2020-02-03 14:46

미국·일본·호주 등 잇따라 입국 제한 조치
강경화 장관 "외교적 마찰 없다…한·중 간 소통 원활"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미국·일본·호주 등 잇따라 입국 제한 조치
강경화 장관 "외교적 마찰 없다…한·중 간 소통 원활"


[앵커]

정부가 이런 결정을 내놓은 배경을 청와대 취재기자와 함께 한 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이서준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일주일 전만 해도 정부가 안 하겠다고 한 거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그동안의 경과를 다시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중국인 입국을 금지해 달라는 국민청원이 지난달 23일에 올라왔고요.

그리고 사흘 만에 답변 요건인 2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바로 다음 날 취재진이 청와대 정례 브리핑에서 이에 대한 정부 입장을 물었습니다.

그에 대해서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 WHO가 이동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 결정을 벗어나는 상황은 아마도 없을 것 같다라고 답을 했던 겁니다.

[앵커]

그러니까 입장이 완전히 바뀐 셈인데 그런 배경이 좀 있습니까?

[기자]

이틀 전인 지난달 31일까지만 해도 방금 말씀드린 것처럼 WHO 결정에 따르자는 분위기가 우세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바로 어제(1일) 2월 1일을 기점으로 해서 청와대 분위기 그러니까 정부의 분위기도 급변했다고 합니다.

일단 이번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진자들을 보면 첫 번째 확진자만 중국인이었고 두 번째부터 11번째까지 모두 한국인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제 중국인 확진자 2명이 새롭게 확인이 된 겁니다.

일본에서 입국한 중국인 관광가이드인 12번째 확진자 그리고 무비자로 제주도를 관광을 하고 중국에 돌아간 뒤에 확진 판정을 받은 중국인 관광객 A씨. 바로 이 두 사람의 중국인 확진자가 어제 확인이 된 건데요.

특히 12번째 확진자는 138명을 접촉한 상태고 A씨의 접촉자는 확인 중입니다.

오늘 문 대통령을 만난 전문가들도 국내 유입 환자수를 줄여야 한다라고 권고했습니다.

[앵커]

어쨌든 우리나라 들어오는 환자 수를 줄여야 우리도 감당이 될 테니까 어쩔 수 없을 것 같은데 사실 제한조치를 요구하는 국민들 여론도 무시할 수는 없는 거였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중국인 입국 금지 청원만 봐도 3일 만에 20만 명 또 그날 당일에 바로 3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그 뒤로 하루에 10만 명씩 증가를 해서 지난달 28일 50만 명 또 31일 6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65만 5000여 명이 국민청원에 동의를 한 상태입니다.

[앵커]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도 이런 입국 제한조치를 취하는 게 이유가 됐을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기자]

에볼라 사태 때를 보면 캐나다와 호주가 입국 제한 조치를 했다가 국제사회로부터 엄청난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당정청은 이를 근거로 입국 제한조치를 반대해 온 게 사실인데요.

그런데 이번에는 분위기가 좀 다르게 흘러갔습니다.

지난달 31일 미국이 입국 제한조치를 했는데 비판을 받기는커녕 일본, 호주, 이탈리아, 싱가포르 등 다른 나라들도 연쇄적으로 뒤따라서 입국 제한조치를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이렇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발하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WHO 권고 정반대로 가고 있다. 이는 분명히 선의의 표시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싱하이민 신임 주한 중국 대사도 이 인터뷰에서 WHO 건의에 부합하는 과학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라고 말을 했습니다.

[앵커]

그럼 오늘 조치로 우리와 중국과의 외교 관계가 영향을 받을 걸로 보입니까?

[기자]

일단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오늘 발표 이후의 브리핑에서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은 없다, 양국 간 소통은 원활하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특히 양국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을 추진하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6년 만의 한국 방문인데요.

우리 정부는 이를 계기로 중국 내 한류 금지령의 전면 해제 등 한중 관계의 개선과 또 교착 상태에 빠진 북한 비핵화의 대화의 불씨를 살리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워낙 많은 나라들이 중국인 입국 금지 대열에 나서고 있어서 이번 조치가 한·중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좀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