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의사 수'부터 vs 일할 '병원'부터…집단휴진 주요 쟁점은

입력 2020-09-01 21:18 수정 2020-09-02 16:0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다시 의료계 집단휴진 관련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지금 JTBC 스튜디오에는 보건복지부와 의사협회 측에서 나와 있습니다. 의대 정원 확대 등의 사안을 두고 양측이 아직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데요.

오늘(1일) 토론에 앞서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서 부딪히고 있는지, 먼저 배양진 기자의 보도를 보시고 바로 토론 이어가겠습니다.

[기자]

< 쟁점 1. '의사 수'부터 vs 일할 '병원'부터 >

의사들은 의사 수를 늘리는 것보단 일할 병원을 만드는 게 먼저라고 주장합니다.

[박지현/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 필수의료 전문의가 부족한 이유는 취업할 병원이 없기 때문이지 자격증이 있는 의사가 부족하기 때문이 절대 아닙니다.]

의료 수가도 문제라고 말합니다.

중증외상 외과 같은 기피 과가 병원에서 적자의 주범 취급을 받지 않으려면 수가부터 제대로 받아야 한단 겁니다.

정부도 의사와 협의기구를 만들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자고 했습니다.

< 쟁점 2. '이미 중단' vs '원점 재논의' >

전공의들은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책 철회나 '원점 재논의'를 문서로 약속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정부는 정책 추진은 이미 중단했다면서 시민사회와 협의해 만든 정책을 없던 일로 하기는 어렵단 입장입니다.

[윤태호/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 국회, 의료계 원로 등에 더해 대통령까지 약속한 협의를 믿고 전공의단체는 조속히 진료현장으로 돌아올 것을 요청드립니다.]

< 쟁점 3. '무기한' 휴진 책임은? >

정부는 어제 대구 등 지방 대학병원에 현장 조사를 나갔습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가운데 업무개시명령을 따르지 않은 전공의들에게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겁니다.

의료계 반발은 거셉니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한다는 주장입니다.

다음 주엔 일부 교수진까지 전공의와 함께 집단휴진에 참여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영상그래픽 : 이정신)

관련기사

의대생들 "입장변화 없다"…서울대병원선 사직서 행렬 '젊은의사 비대위' 출범…"원점 재논의 명문화해야 진료 복귀" 전공의, 국회 중재안 거부…정부 "의사국시 1주일 연기"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