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26년 꿈 좌절…그동안의 기록

입력 2016-06-21 15:5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남부권 신공항 입지 용역을 진행했던 프랑스 ADPi(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은 21일 오후 3시 세종정부청사에서 신공항 대신 기존의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안을 발표했다.

이로써 2011년 3월 30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이후 재추진되었던 남부권 신공항 건설이 또 다시 없던 일이 됐다.

지난 1990년 인천국제공항에 대한 타당성 조사 당시 부산권 신공항 개발 타당성 조사 용역을 동시에 수행했지만 부산권 신공항은 별다른 관심을 받자 못하고 유야무야 됐다.

이후 김해국제공항이 노후화되고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항공수요에 대비하기 어렵다는 여론이 형성되자 부산시가 1999년 신공항건설을 위해 다시 나섰다.

부산시는 그해 11월 김해국제공항발전연구팀을 구성해 신공항건설의 필요성 검토와 김해국제공항의 기능확충 및 발전계획수립 등에 대한 연구와 토론회·공청회 등을 개최했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신공항 문제는 수면아래 있었다.

부산시가 2004년 영남권 허브공항의 가덕도 건설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히자 대구·경북은 밀양이 영남권 전체와 일부 호남·충청을 아우르는 '동남권 신공항' 적격지라고 맞불을 놓았다.

이때부터 부산과 대구·경북의 대립 구도가 시작됐다.

그러다가 2006년 12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타당성 검사를 지시하고 2007년 대선을 앞두고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부산, 밀양, 대구 등 각 지역을 돌며 신공항 건설을 약속하며 구체화됐다.

2008년 9월 이명박 정부는 동남권 신공항을 '30대 광역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했고 이듬해 4월 국토연구원은 동남권 신공항의 후보지를 가덕도와 밀양 2개로 압축해 발표했다.

이후 2010년 7월 입지평가위원회가 구성됐고 밀양과 가덕도에 대한 입지평가위원회의 현지 실사와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됐다. 하지만 신공항을 두고 부산과 대구·경북·경남으로 갈려 난타전을 벌였고 이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신공항 무용론에 불을 지폈다.

결국 2011년 3월 30일 신공항 입지평가위원회는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모두 '경제성 미흡'을 이유로 신공항 건설을 전면 백지화했다.

신공항 불씨를 되살린 것은 2012년 대통령선거였다.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후보는 모두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신공항 백지화 3년 후인 2014년 8월 25일 정부는 '공항 수요가 충분하다'는 수요예측을 발표하며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를 둘러싼 부산과 대구·경북·울산·경남 4개 시도의 대립각은 재현됐다.

유치 경쟁이 과열양상을 보이자 2015년 1월19일 서병수 부산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김기현 울산시장, 홍준표 경남지사, 김관용 경북지사는 "신공항의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에 관한 사항을 정부가 외국 전문 기관에 의뢰해 결정하도록 하는 데 뜻을 모은다"며 경쟁 자제를 합의했다.

정부는 그해 6월 26일 영남권 신공항 사전 타당성검토 연구 용역 수행기관으로 한국교통연구원, 프랑스 ADPi(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컨소시엄을 선정했다.

한국교통연구원과 ADPi는 지난달 25부터 27일까지 열린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평가항목과 항목별 가중치, 배점 기준 등을 정했다. 다만 용역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며 이 내용을 비공개해 논란을 키웠다.

정부는 컨소시엄 구성 후 1년째인 21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어 신공항 백지화를 최종 결정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영남권 신공항 또 무산…"김해공항 확장이 최적" 정의당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 당연한 귀결" 김종인 "김해공항 확장, 중립적 결정" 정진석 "정부 결정,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박지원 "무능한 정부, 아무도 만족 못 시켜"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