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다시 고개 드는 '북한 대비론'…진술·정황상 앞뒤 안 맞아

입력 2017-08-24 20:3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5·18 진상조사 시도 때마다 계속 되풀이 돼온 주장이 있습니다. "당시 군의 움직임은 북한 대비용이었다", "비상 계엄령에 따른 조치였다" 이런 주장들이죠. 저희가 보도한 전투기 출격대기와 관련해서도 역시 같은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희 JTBC가 인터뷰한 당시 조종사들의 진술과 당시 정황 몇가지만 봐도 이런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안지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남 사천의 비행단에서 출격대기 명령을 받았던 예비역 장군은 당시 항공기 상태론 북한까지 갈 수 없었다고 증언했습니다.

[5·18 당시 조종훈련생/JTBC '뉴스룸' (지난 22일) : (사천에 대기하던) A-37이란 그 비행기로는요. 그 무장으로는, 그 항공기 크기로, 연료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갈 수도 없으며…]

당시 대기했던 항공기 A-37B는 폭탄과 기관총을 장착할 경우 작전행동반경이 230㎞ 정도입니다.

사천에서 뜨면 충남 천안 정도까지만 작전이 가능한 것입니다.

북한 대비용이라면 무거운 공대지 폭탄이 아니라 가볍고 공중전에 필요한 공대공 무기를 장착했어야 한다는 증언도 있습니다.

[5·18 당시 전투기 조종사/JTBC '뉴스룸' (지난 21일) : 그걸 (북한 위협에) 대비했다면 무장을 공대공 무장을 해야지, 공대지 무장을 할 수가 없죠.]

출격 대기 명령이 오후 5시쯤 해제됐다는 점도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북한의 위협과 계엄령 확대로 인한 작전 대기였다면 상황 변화가 없는 한 대기가 계속됐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 밖에 전방 양평에 있던 육군 20사단 병력 4000여명을 후방 광주로 투입된 점도 대북 대비태세라고 하긴 힘든 병력 운용입니다.

게다가 CIA 문서에 따르면 당시 미국도 "북한의 도발 준비 정황은 없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 '5·18 출격 대기' 특별조사 지시…배경은? 국방부 "특별조사단 구성…작전일지·존안자료 공개 추진" 핵심은 '발포 명령자' 찾아내기…다시 전두환에 쏠리는 눈 5·18 당시 최소 8개 비행단에서 '작전 또는 출격 대기' '무장 출격 대기' 떨어진 그날 광주에선…어떤 일 있었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