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불안한 지하세계…서울시 지반 내려앉은 횟수 봤더니

입력 2014-08-28 22:4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 문제를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취재해온 김태영 기자와 함께 한 걸음만 더 들어가겠습니다.

짤막짤막하게 얘기하죠. 서울시 발표를 들어보니까 모든 책임을 일단 시공사한테 넘기는 분위기입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오늘(28일) 서울시 발표를 보면 주로 지하 빈공간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발생 원인을 두고 대부분 시공사가 공사를 부실하게 했고, 또 감리업체가 감독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시공사가 잘못한 건 분명히 있죠. 또 본인들도 그걸 알고 어떻게 고쳐보겠다고 얘기를 하니까요. 그럼 서울시는 책임이 완전히 없느냐, 그것도 좀 따져봐야 할 것 같은데요?

[기자]

네, 서울시는 공사를 발주한 기관으로서 '도의적 책임'은 있다, 이런 입장입니다.

하지만 싱크홀 사고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은 시공사인 삼성물산 측이 져야 한다고 합니다.

서울시 관계자 말을 직접 들어 보시죠

[천석현/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 : 진짜 법적으로는 책임이 없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법적으로는 (공사) 업무에 관여하지 못하게 돼 있어요.]

[앵커]

그런데 오늘 서울시 발표를 보면, 지하철 시공업체가 동공 발생 위험성을 이미 서울시에 보고했다는 얘기도 들어가 있는데 그건 어떤 얘기입니까?

[기자]

네, 서울시 발표에 따르면 시공사인 삼성물산은 지난해 7월에 이미 동공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사실과 함께 싱크홀이 발생할 경우에 어떻게 대비를 하겠다는 '대응 매뉴얼'까지 서울시 측에 보고했습니다.

그런데도 서울시가 책임이 없다는 건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인데요.

결국, 서울시가 사전에 위험성을 보고받았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치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공사 측의 얘기도 한번 들어봤습니다.

[김형/삼성물산 건설부문 부사장 : 매일매일 작업일보를 통해 갖고 있는 자료를 감리단에 제출합니다. 토사량 나오는 것에 대해 모든 자료를 감리단에 보고했습니다.]

[앵커]

그렇다 하더라도 시공사 측에서 이걸 공사하면서, 예를 들면 수차례 얘기가 나왔습니다마는 그라우팅, 그러니까 뚫고 난 다음에 잘 보강하는 작업, 이걸 제대로 안 했거나 그렇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은 틀림없는 거니까 양쪽에다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 조사 발표 후에도 여전히 논란이 가라앉지 않는데 지금 추세를 보면 혹시 다른 곳에도 이런 싱크홀이나 지하 동공이 많이 있는 것이 아니냐,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이 발밑에 뭐가 있는지 모르고 사는 것이 아니냐 하는, 이게 과장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마는 걱정도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가능성은 충분한데요. 먼저 준비한 그래프부터 보시겠습니다.

지난 2010년부터 도로가 함몰한 발생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인데요, 2010년에서 2013년 3년 사이에 벌써 2배 가까이 도로함몰 발생 건수가 증가합니다.

그리고 올해 7월까지만 해도 벌써 500차례가 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점점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싱크홀이나 빈공간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원인이 좀 밝혀지고 있는 게 있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보시면 도로함몰 원인 중, 3000여 차례 중에 2600건이 하수관 손상이라고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85%인데요. 이처럼 하수관이 만약에 노후화돼서 균열이 발생할 경우 그 안에 있는 물이 새어나오고 그 물이 주변에 있던 흙을 같이 쓸어가면서 지하에 빈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원인을 조금 더 조사하고 그에 대한 대책도 확실하게 마련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는데, 지금까지 대응은 어땠습니까?

[기자]

네, 서울 도심 지하의 경우 상하수관, 가스관, 전선 등 각종 시설물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그런데도 정보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2003년부터 지반정보시스템이라는 걸 구축했는데요.

지반 구성과 지하 수위의 변화 정도만 알 수 있는 단순한 시스템으로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여기까지만 듣겠습니다. 김태영 기자, 수고했습니다.

관련기사

"지하 동공, 지하철 9호선 부실공사 탓"…서울시 결론 제2 롯데월드, 지하도로 건설 합의…임시개장 탄력받나 굴착공사 줄줄이 예고…"싱크홀 무서워요" 주민 불안감 제2롯데월드 '도로 지하화' 합의…임시개장 '청신호'? 곳곳 땅 꺼진 서울…200여 개 동공, 앞으로 보수 계획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