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팩트체크] 정치권 '포털 댓글 폐쇄 주장' 살펴보니…

입력 2018-04-23 21:5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정운천/바른미래당 최고위원 : 전 세계 구글 같은 데는 이런 것(포털 사이트 댓글)이 없습니다. 대한민국이 이러한 여론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을 무방비로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 국회에서 이 문제는 근본적으로 함께 계속 개혁을 하고 개선을 해서 법제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앵커]

드루킹 사건을 계기로 '포털사이트의 댓글을 없애자'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에만 있는 방식이라는 것인데 과연 사실인지, 또 폐쇄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것인지를 좀 짚어봤습니다.

오대영 기자, 포털 댓글이 한국에만 있는 것입니까?

 

[기자]

그렇지는 않습니다. 네이버나 다음은 주로 '인링크' 방식으로 기사를 공급합니다.

그러니까 여러 언론의 기사를 안에 모아서 제공을 하는 것인데요.

언론사 사이트에 가지 않더라도 포털 안에서 댓글을 달 수가 있습니다.

야후라는 사이트도 비슷합니다.

오른쪽은 일본에서 가장 많이 쓰는 야후 재팬의 오늘 화면입니다.

포털 안에서 댓글을 달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댓글에 '좋아요'와 '싫어요'를 누를 수가 있습니다.

네이버나 다음 그리고 이런 야후 같은 경우에는 컨텐트 제공이 주요 기능입니다.

반면에 구글은 검색용으로 많이 쓰여서 기사를 누르면 언론사 페이지로 이동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만 보면 네이버와 다음뿐만 아니라 야후도 좀 비슷한 방식을 쓰고 있는 것 같은데요?

[기자]

표면적으로 그런 건데요.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네이버, 다음은 기사의 개수와 상관없이 하루에 각각 20개, 30개까지만 달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기사에 댓글을 다 달 수가 있습니다.

특정 기사의 댓글을 모으는 것도 가능한 구조입니다.

반면에 야후의 경우에는 기사 1개당 1개의 댓글만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기사가 아니라 댓글 달기에 동의한 언론사의 기사에만 달 수가 있습니다.

오남용을 막자는 취지입니다.

[앵커]

그러니까 네이버와 다음만의 좀 '독특한 댓글 달기 방식이 있다'라는 거죠?

[기자]

네, 문제는 '한국에서 포털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포털이 여론을 좌우할 수 있다'라는 것인데 지난해 영국의 로이터연구소가 낸 보고서를 보겠습니다.

이용자들이 포털 뉴스에 의존하는 비율은 한국이 77%, 1위입니다.

그리고 그 뒤가 일본이었습니다.

프랑스는 반면에 36%, 독일 30%, 미국 23% 그리고 영국 15%로 낮았습니다.

이들 나라에서는 포털이 아니라 개별 언론사 사이트를 찾아서 뉴스를 보는 비율이 높습니다.

이처럼 한국의 포털은 독보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지만 댓글 문제에서는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입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좋아요 수, 싫어요 수를 어떤 비중으로 어떻게 할지를 그냥 네이버가 정하잖아요. 공감대 확보하려는 노력이 안 보인단 말이죠. 여러 가지 부작용을 우리가 충분히 고민했다, 대중의 의견도 이렇게 충분히 들었다는 모습을 (포털 스스로) 보여줄 필요는 있는 것 같아요.]

[앵커]

그러면 포털을 우리보다 많이 쓰지 않는 나라들에서는 댓글과 관련된 논란이 전혀 없습니까?

[기자]

아닙니다. 악성댓글, 특히 문제된 사례가 많고요.

그래서 댓글을 폐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국의 로이터는 2014년 11월 댓글의 서비스를 없앴습니다.

미국의 CNN과 블룸버그, NPR도 폐쇄를 했습니다.

인종차별이나 소수자 혐오, 거짓 정보 등이 문제가 계속 불거졌고, '건전한 공론의 장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판단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댓글창을 닫은 대신에 소셜미디어로 시청자나 독자와 의견을 나누고 있습니다.

[앵커]

보면 전부 좀 다 유력하다고 평가되는 매체들이잖아요?

[기자]

하지만 이건 일부의 사례이고요.

세계신문협회가 조사해 보니까 조사 대상의 82% 정도는 댓글 기능은 유지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의 순기능과 역기능 사이에서 독자적인 방식을 개발하고 있는데 미국의 워싱턴포스트, 뉴욕타임즈가 대표적 사례입니다.

먼저 워싱턴포스트 사례를 보면 댓글을 올린 5분 뒤부터는 수정과 삭제를 못하도록 했습니다.

댓글 작성에 대한 책임을 그만큼 강조하는 겁니다.

뉴욕타임즈는 댓글을 달 수 있는 기사를 전체의 10%가량으로 정해 놨는데 댓글도 편집자가 악성 여부를 판단한 뒤에 노출을 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도입이 돼서 이 비율이 늘고 있습니다.

하나의 정답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다수의 매체가 이처럼 건강한 댓글을 위해서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앵커]

팩트체크 오대영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야3당, '드루킹 특검법' 공동 발의…여야 공방 가열 '느릅나무 출판사' 다시 압수수색…CCTV 영상 확보 경공모 자금 흐름 추적…그 중심에 필명 '파로스' 등장 3년 전 댓글 방식 바꾼 네이버…극심해진 '여론 조작' "의례적 감사 메시지만" 수사 발표…경찰, 사과했지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