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달라진 '유권자 지형'…누구에게 유리할까

입력 2012-12-02 08:26

5060·수도권유권자 증가, 중도층 두터워져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5060·수도권유권자 증가, 중도층 두터워져

제18대 대통령선거 승부를 가를 4천만 유권자의 '선택의 순간'이 성큼 다가왔다.

대선을 17일 앞둔 2일 현재까지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어느 한쪽의 압도적 우위를 점치기 힘들 정도로 팽팽한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2002년과 2007년 대선과 비교할 때 `유권자 지형'의 눈에 띄는 변화로 대권 향배는 더욱 점치기 힘든 상황이다.

연령별 변화를 살펴보면 박 후보에, 지역별 변화에선 문 후보에 각각 유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이다. 중도층이 두터워진 점도 불투명한 대선 전망의 한 요인이다.

유권자의 달라진 지형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섣불리 가늠하기가 어려운 까닭이다.

유권자 지형 분석은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23일 발표한 18대 대선 선거인명부 작성결과를 토대로 한 것으로, 오는 10일 확정되는 선거인명부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30 줄고 5060 늘고 = 통상 2030세대는 진보성향 후보에, 5060(50대 이상)은 보수성향 후보에 높은 지지율을 보여왔다.

행정안전부가 이번 대선 선거인명부를 작성한 결과 전체 유권자 4천52만6천767명 중 2030 유권자는 38.2%(1천548만8천375명)고, 5060 유권자는 40%(1천622만2천840명)으로 집계됐다.

박 후보 지지 성향이 강한 5060 유권자가 문 후보 지지층이 밀집한 2030세대를 웃도는 모양새다.

특히 5060 유권자수가 2030을 넘어서기는 최근 치러진 대선 중 처음이다.

지난 2002년 대선에서는 전체 유권자의 48.3%(1천689만7천559명)에 달한 2030의 힘으로 진보 진영의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대선 승리를 장식했다. 당시 5060은 39.3%에 불과했다.

보수 기치를 내건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당선으로 막을 내리긴 했으나 2007년에도 2030 유권자는 전체의 44.0%로, 5060(33.5%)을 상회했다.

따라서 유권자 연령만을 떼어놓고 볼 때 과거 대선보다 보수 성향의 박근혜 후보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고 볼 수 있다.

관건은 전체 유권자의 21.8%(881만5천552표)에 달하는 40대 표심의 향배다. 역대 대선에서 2030이었던 현재의 40대가 과거와 유사한 선택을 할지, 기성세대로 진입한 데 따른 인식의 변화를 보일지 주목된다.

이번 대선국면에서 야권 후보에 좀더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표시해온 40대가 야권의 `아름다운 단일화' 무산 이후에는 표심을 이동할 조짐을 일부 여론조사를 통해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수도권 유권자 증가 = 지난 2007년 대선과 비교할 때 이번 대선에서는 수도권 유권자 증가가 눈에 띈다.

서울ㆍ경기ㆍ인천의 수도권 유권자는 지난 2007년 대선 때 1천827만9천694명이었으나 이번 대선에서는 172만7천779명이 늘어난 2천만7천473명으로, 첫 `수도권 2천만 유권자 시대'를 열었다.

전체 유권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48.6%에서 49.3%로 높아졌다.

새누리당 텃밭인 영남권에서는 52만명가량, 민주당이 우위에 선 호남권에서는 20만명가량 각각 유권자수가 늘었지만, 전체 유권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면에선 두 지역 모두 소폭 하락했다.

2007년 대선 때와 비교할 때 영남권 유권자 비율은 전체의 26.7%에서 26%로, 호남권 유권자 비율은 10.5%에서 10.3%로 줄었다.

따라서 수도권이 이번 대선에서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동안 문 후보, 후보직에서 사퇴한 안철수 전 후보가 수도권에서 다소 우위를 보여왔다는 점에서 `수도권 유권자 증가'는 문 후보에 유리한 지형으로도 해석된다.

다만 수도권 유권자의 경우 지역별ㆍ세대별 대결과 무관하게 시대 흐름을 주도해왔다는 점에서 특정 후보로의 쏠림을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노무현·이명박 대통령 탄생은 수도권에서의 50% 안팎 득표율에 힘입은데 따른 것이다.

◇보수ㆍ진보의 균형..두터워진 중도 = 이번 대선의 특징 중 하나는 2002년 대선에 이은 10년만의 보수ㆍ진보 대결이라는 점이다. 2007년 대선 때는 일찌감치 승부가 결정나면서 보혁 대결의 색채가 옅었다.

리서치앤리서치(R&R)가 지난달 27∼29일 1천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본인의 이념은 어디에 위치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중도'라고 답한 응답자가 42.6%로 가장 많았다.

스스로를 진보 또는 진보에 가깝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23.9%, 보수 또는 보수 성향이라고 한 응답자는 24.0%로 동일한 수준이었다.

지난 2002년 대선 6개월 전에 한국일보가 실시한 정치·사회 인식 조사에서는 중도를 택한 응답자가 38.6%로 가장 많았고 보수쪽에서는 34%, 진보쪽에서는 24%의 응답 분포를 보였다.

자신의 이념적 성향을 중도로 평가한 유권자층이 10년 새 두터워진 반면 보수는 줄어든 셈이다.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가 사퇴 전까지 공고한 지지율을 보일 수 있었던 점도 늘어난 중도층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안 전 후보를 지지했던 중도층을 잡기 위한 박근혜·문재인 후보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 보이는 가운데 안 전 후보의 향후 행보가 중도층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권자 최종결정 `지금부터' = 유권자 중 상당수는 최종 선택을 위해 앞으로 남은 2주간 심사숙고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권자의 절반 정도는 대선 한달 전에 지지후보를 결정하지만, 40%가량은 대선 2주전부터 대선 당일까지 거듭된 고민을 한다는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역대 대선 직후 실시한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 2002년 대선에서 투표한 유권자 중 투표일 한달 이상 전에 지지후보를 결정한 비율은 49.1%였으며 투표일 2주일전∼투표 당일 결정한 비율은 37.1%였다.

지난 2007년 대선 때도 그 결과는 유사한 양상을 보여 투표일 2주일전∼투표 당일 지지후보를 결정한 투표 참여자는 40.4%였다.

따라서 박근혜ㆍ문재인 후보의 표심잡기 대결은 지금부터 막이 올랐다고 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안철수 전 후보의 전격 사퇴로 표심을 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에서는 막판까지 고민하는 유권자가 적지않을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유권자들은 대선 지지후보를 결정하는데 있어 후보의 인물과 능력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관위의 유권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2002년 대선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55.7%가, 2007년 대선의 경우 39.2%가 각각 후보의 인물ㆍ능력을 보고 선택했다고 답변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대선 D-17 과열혼탁 양상…안철수 행보·TV토론 변수 북한 "박근혜, 대북정책 명백히 밝히라" 공개 질의 문재인, 강원·충북 공략…"투표율 77% 넘으면 말춤" 저인망 vs 거점 공격…박·문 '극과 극' 유세 스타일 눈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