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소득은 찔끔, 빚은 대폭 늘어"…원리금 상환에 허리 휘는 가계

입력 2015-12-21 16:2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올해 가계의 자산과 소득은 늘었지만 부채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소비 여력을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3월 말 현재 가구당 평균 부채는 6181만원으로 전년(6051만원) 대비 130만원(2.2%) 늘었다.

특히 금융부채가 4321만원으로 전년(4118만원) 203만원(4.9%)나 늘었다. 담보대출은 164만원(4.9%), 신용대출은 30만원(5.0%) 씩 늘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57.5%에 달했다. 금융부채 보유액은 자영업자 가구(1억160만원)가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7164만원), 무직 등 기타(5846만원), 임시·일용근로자(3603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가계 자산과 소득도 늘었지만 부채보다는 증가폭이 작았다.

3월 말 기준 가구 평균 자산은 3억4246만원으로 전년 대비 707만원(2.1%) 늘었다. 가구당 연평균 소득은 4767만원으로 전년보다 109만원(2.3%) 증가했다. 가계소득에서 공적연금, 사회보험료, 세금, 이자비용 등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924만원으로 전년 대비 105만원(2.7%)늘었다.

가계부채 규모가 크게 늘면서 가계의 소비 여력을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가계의 평균 원리금 상환액은 952만원으로 처분가능소득(3924만원)의 24.2%를 차지했다. 가계의 평균 원리금 상환액은 지난해(830만원)보다 122만원(14.6%) 늘어 처분가능소득보다 증가폭(105만원)이 컸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70.1%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또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저축과 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는 가구는 78.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과 소득보다 부채가 크게 늘면서 가계의 재무건전성도 악화됐다.

가계의 원리금 상환액 대비 처분가능소득 비율은 24.2%로 전년(21.7%)보다 2.5%포인트나 상승했다.

또 처분 가능 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07.8%에서 110.1%로,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1.7%에서 64.1%로 각각 상승했다.

자산과 소득의 분배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중 43.2%는 상위 10%가 점유하고 있는 반면 하위 50% 가구의 점유율은 10.8%에 그쳤다.

순자산을 기준으로 산출한 '순자산 지니계수'는 0.592로 지난해(0.594)보다 0.002 낮아지는 데 그쳤다. 지니계수는 0~1 사이 값을 갖는데 0에 가까울수록 자산이 균등하게 분배됐다는 뜻이다.

가계 소득의 경우 5분위(상위 20%) 가구는 1억930만원에 달했지만 1분위(하위 20%) 가구는 862만원에 불과했다. 5분위 가구의 소득은 1년새 195만원(1.8%) 늘었지만 1분위 가구는 35만원(4.2%) 늘었다.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격차는 더 벌어진 셈이다.

소득분배지표를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 지니계수(0.347→0.344)와 소득5분위배율(6.69→6.54)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할 경우 지니계수(0.380)는 지난해와 변동이 없었고 소득5분위배율(9.32→9.53)은 오히려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