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석면 발생 지역, 여의도의 71배…2년째 쉬쉬한 환경부

입력 2017-08-29 08:45 수정 2017-08-29 08:4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이처럼 1급 발암물질인 석면으로 인한 피해는 환경적 요인에도 강한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특히 석면이 많이 나올만한 곳을 조사해 관리해야 합니다.

옆에 보이는 지도는 환경부가 2015년 제작한 전국의 석면 자연발생 지질도입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고루 분포돼 있는데 강원도가 1738㎢로 가장 넓고 경북과 경기도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 중 특히 초염기성암이 분포한 지역은 석면이 나올 가능성이 가장 높은데, 이런 지질지역은 충청남도가 157㎢로 가장 넓었습니다.

전 국토의 0.2%인 207㎢가 이런 초염기성암 분포지역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71배에 달합니다.

하지만 환경부는 이 자료를 지자체 외에는 2년 동안 일반에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지자체들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고 지역 이미지가 안 좋아진다며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걸 반대했기 때문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반면 각 지자체들은 내부적으로 도로 건설이나 각종 개발 사업의 인허가 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때문에 정부의 실정법 위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석면안전관리법에 따르면 정부는 석면의 위험성을 조사해 결과를 공표해야 합니다.

특히 석면 안전관리 계획 등 후속 조치를 취해야하지만 현재까지 관리 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한 곳도 없습니다.

정부는 논란이 일자 세부 수치 등을 조정하고 있으며 조만간 보완된 자료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광산 노동자 직업병?…석면암 환자 45% '직업과 무관' 30대 석면암 첫 사망…"석면질환 대발병 전조 보인다" [밀착카메라] 석면 날리는데…재개발지 '위험한 등굣길' 해충에 석면 노출까지…10년째 방치 '도심 쓰레기 산' [밀착카메라] 폐광 후에도 '석면 공포'…망루에 선 주민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