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다스 챙긴 MB…'120억 비자금'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나

입력 2017-11-16 20:49 수정 2017-11-16 21:57

"이동형, 다스 가고 싶다고 부탁…MB가 허락"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이동형, 다스 가고 싶다고 부탁…MB가 허락"

[앵커]

앞서도 설명드렸듯이 다스의 실소유주를 규명하는 것, 그래서 의혹을 해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 핵심에 2008년 특검이 찾아냈던 120억 원의 비자금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앞서 보도에서 이 비자금이 누구를 통해 만들어졌고, 어떻게 관리됐는지, 그리고 문제가 불거진 뒤에는 어떻게 처리됐는지를 보도해드렸습니다. 이제 남는 문제는, 그럼 누구를 위해 이 돈이 만들어졌느냐는 겁니다. 역시 돈의 진짜 주인에 대한 문제겠지요. 현장 취재를 한 박창규 기자와 한 걸음 더 들어가겠습니다.

박창규 기자, 조금 전에 리포트를 보면서 의문이 들었습니다. 다스 이상은 회장의 아들이 아버지가 아닌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다스에 입사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기자]

다스의 회장은 당시에도 이상은 회장이었습니다. 지금은 최대 주주고 당시에는 2대 주주였습니다.

이명박 당시 당선인은 다스 지분이 1%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상은 회장의 아들 이동형 씨는 아버지가 아닌 이 전 대통령에게 "다스에 가서 일하라"는 지시를 받습니다.

당시 자리에 동행했다는 다스 관계자는 "이동형 씨가 다스에 가고 싶다고 부탁했고 이 당선인이 허락했다"고 표현했습니다.

[앵커]

아버지한테 부탁을 안하고 이명박 당선인에게 부탁을 했다는 거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과연 실소유주가 누구길래 회장인 아버지가 아니라 삼촌에게 허락을 받는지 의문이 생기는 대목입니다.

[앵커]

상식적인 의문입니다. (네.) 120억 비자금 문제를 정리하기 위해 이 전 대통령이 조카를 다스로 보냈다고 했습니다. 물론 증언입니다만. 당선인 시절로 한참 바쁠때 였는데 이 당선인은 여기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라는…또 역시 상식적인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네요.

[기자]

네, 맞습니다. 다스 120억 비자금이 누구 돈인지는 밝혀진 적이 없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BBK 특검이 돈의 흐름을 파악했지만 다스로 돌려 놓으라고만 얘기했습니다.

이후 추가 수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왜 이 전 대통령, 당시 당선인이 나서야 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두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전 대통령과 인척 사이인 한 관계자는 "평소 다스 운영에 관해 집안 어른인 이 전 대통령 의견이 많이 반영됐다"고 말했습니다.

어른으로서 집안 일을 챙겼다는 겁니다.

[앵커]

다스 당시 이상은 회장이 이명박 전 대통령보다 더 형이잖아요.

[기자]

네, 맞습니다. 집안 사이가 상당히 돈독했다고 얘기를 하고 있고요, 가족 회의를 통해서 많은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그 가족 가운데 이명박 전 대통령은 대통령까지 할 만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발언권이 컸다고는 표현하고 있습니다.

어른으로서 집안 일을 챙겼다는 건데요. 다른 가능성은 직접 회사 내부 문제를 챙길 만큼 다스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고도 해석 할 수 있겠습니다.

[앵커]

네, 누차 말씀 드리지만은 120억 원이 누구 것인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아직 없습니다. 그래서 합리적으로 추론을 해봐야되는 것인데. 드러난 사실만 가지고 얘기를 해보죠.

[기자]

회계 전문가들은 법인의 모든 비자금은 무조건 실소유자의 것으로 한다고 의제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다른 증거가 없다면 일단 오너 것으로 본다는 겁니다.

다스 실소유주는 아직 누구인지 아무도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 120억 원의 주인을 알 수가 없습니다.

일부에서는 이 돈이 임원들이 만든 비자금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실소유주가 아닌 임원이 만든 돈이라면 회계에 반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직원이 소유주 모르게 돈을 챙긴다면 아무도 모르게 해야지 회계에 남길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이 120억 원은 제 3자가 보면 회계 자료 안에 아무도 알 수 없게 숨겨놨습니다. 하지만 실소유주는 보면 이 돈이 있었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을 만큼 기록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도 발견을 할 수 있었는데요.

이 120억 원의 주인을 찾는 작업이 곧 다스의 주인을 찾는 작업이다 이렇게 말 할 수 있겠습니다.

[앵커]

그럼 당시 특검은 이 비자금을 왜 더 추적하지 않은 것인가, 사실 특검의 기본적인 역할은 이 돈을 추적해야 되는건데 왜 반대로 하지 않았을까요?

[기자]

저희는 특검 관계자에게 답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듣지 못했습니다.

120억 원은 상당히 큰 돈입니다. 이 정도 액수라면 관련자들이 즉시 구속되고 중형을 살 수준의 범죄입니다.

하지만 특검은 이 돈을 회사로 돌려놓으라고만 했을 뿐 아무도 고발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임원들이 만든 비자금이라면 특검이 발견했을 때 임원들을 고발하고 매듭을 지었어야 합니다.

그러면 다스와 그 비자금 때문에 특검도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일도 없었을 겁니다.

과연 돈 주인이 누구길래 특검이 이렇게 처리했을까, 다시 의문이 드는 대목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120억 원의 비자금 진짜 주인은 아직 더 취재를 해야겠지만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이번에 어느 정도 확인이 된 것이군요.

[기자]

여러 명의 다스 관계자들이 비슷한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외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면서 가격을 부풀리는 형태였는데요.

가령 100원짜리를 사면서 200원 짜리로 기록하는 겁니다.

이런 식으로 몇년에 걸쳐서 80억 원 정도 비자금을 만들었고 이걸 다스 협력 업체의 경리 담당 직원에게 관리를 맡겼습니다.

이 80억 원이 투자를 통해 5년 만에 120억 원 수준으로 늘어났습니다.

[앵커]

근데 다스는 그 이후에는 더 많은 비자금을 만듭니다. 그래서 비슷한 일이 또 벌어졌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그러면은.

[기자]

비슷한 일은 이 이후에는 다스에서는 벌어지지 않았다고 얘길 하고 있습니다.

그게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일단 한번 비자금이 수사 기관에 들켰기 때문에 더이상 같은 방법으로 자금을 조성하는 건 위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 전 대통령 실소유주 의혹으로 다스에 대한 주목도가 상당히 커졌습니다.

다스에서 이제 비자금을 만드는게 이제는 곤란해 졌다는 얘기였습니다.

다스가 비자금 만들었던 방식을 설명드렸는데요. 100원짜리 물건을 사면서 200원짜리를 샀다고 기록한 뒤에 100원을 빼돌리는 형태였습니다.

즉, 실제보다 지출이 많은 걸로 기록이 되기 때문에 자연히 순이익은 줄어듭니다.

공교롭게도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로 다스는 이전과 매출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데 순이익은 확 늘어납니다.

뒤집어 말하면 늘어난 순이익 만큼 비슷한 수준의 비자금이 이전에는 꾸준히 만들어져 왔다는 얘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관련기사

[단독] MB, 당선인 시절 '다스 비자금 수습' 직접 지시 [단독] "120억 다스로 복구" 지시한 특검…비자금 덮었나 [단독] '120억 비자금 문건' 차명계좌 주인 17명 실체 확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