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문제 키우는 복잡한 유통경로…계란 집하장 확대해야

입력 2017-08-18 08:0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달걀 생산지에서는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이후 유통되는 과정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유통업자들이 난립해 있어서 살충제 달걀을 추적하기 쉽지 않습니다.

김진일 기자입니다.

[기자]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검출된 강원도의 한 농장주는 계란이 어디로 팔려가는지 알지 못합니다.

[A 농장주 : (마트) 그런 데는 안 들어가는 거로 알고 있는데 어디로 가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정부도 살충제 계란을 추적하는데 어려움을 겪긴 마찬가지입니다.

계란의 복잡한 유통경로 때문입니다.

농가 3곳 중 1곳은 농가를 직접 방문하는 판매상에게 계란을 팔고 있습니다.

산란계 농가수는 1149곳인데 식용란 수집판매업체 수는 1860곳입니다.

수집판매업체들이 난립하다 보니 살충제 계란이나 AI 등 문제가 터졌을 때 대응이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경기도 광주에 있는 한 계란 집하장, GP센터입니다.

각 농가의 계란을 한곳에 모아 불량 계란을 걸러내고 세척과 포장까지 한번에 진행합니다.

살충제나 항생제 검사도 주기적으로 합니다. 우리나라에 있는 GP센터는 48곳에 불과합니다.

독일은 법으로 GP센터에서 처리한 계란만 포장·유통 하도록 하고 있고 일본은 시중 유통 계란의 80%가 GP센터를 통합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GP센터를 더 확충해 계란 유통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관련기사

달걀 농장 60곳서 살충제 추가 검출…껍데기만 친환경 살충제 2가지도 추가로…'아예 나오면 안 되는' 금지물질 농식품부, 농장명단 정정 또 정정…부처간 엇박자 논란도 새로운 살충제 나온 '작은 농장' 보니…관리 사각지대 [단독] "스탬프만 있으면…" 달걀 '생산 표시' 마음대로 조작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