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중 FTA 발효 시, 1600억 달러 中 소비재 수입시장 집중 공략해야

입력 2015-11-30 18:33

中 소비재 품목 20% 이상 고관세 5~10년 내 철폐
대중 수출품 73%가 중간재…소비재 분야로 전환 필요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中 소비재 품목 20% 이상 고관세 5~10년 내 철폐
대중 수출품 73%가 중간재…소비재 분야로 전환 필요

한·중 FTA 발효로 우리 수출 전략을 중간재 위주에서 소비재 분야로 전환해야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우리 수출기업의 대중(對中) 수출품의 73.2%가 중간재로,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로 갈수록 중간재를 수입해 가공·조립한 뒤 판매하는 '가공무역 수입' 비중이 줄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0%를 넘어서며 내수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소비재는 일상생활에서 직접 소비하는 재화로 가전제품이나 생활용품, 의류, 귀금속, 일부 식품류 등을 포함하는데, 중국 소비재 품목의 상당수 품목이 20% 이상 고관세라는 점에서 한·중 FTA 발효로 관세 철폐 혜택이 생기는 점을 적극 공략해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30일 코트라 중국사업단이 분석한 '한중 FTA 업종별 효과와 활용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대중(對中) 수출 11개 업종 중 한중 FTA를 통해 가장 폭넓게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분야를 소비재로 꼽았다.

지난해 기준 소비재 품목의 대중 수출은 39억1000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2.69%에 불과하다. 반면 수입이 109억 달러로 전체에서 12.2%를 차지해 무역적자는 70억7000만 달러 규모다.

소비재 품목은 한국의 관세가 평균 8% 지만, 중국은 소비재 관세율이 20%가 넘어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번 한·중 FTA는 이 같은 비대칭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진다.

중국측은 기존의 고관세를 매겨오던 소비재 품목 중 상당수를 5~10년간 철폐하는 데 합의한 상태다. 우리측도 일부 민감품목(15년 철폐)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에 대해 5~10년에 걸쳐 철폐를 약속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우리 기업들이 주력해온 전자, 철강,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눈을 돌려 소비재 시장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대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중국이 중간재를 수입해 가공·조립한 뒤 판매하는 '가공무역 수입' 비중은 2000년 41.1%에서 지난해 26.8%로 하락했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지난해 5월 처음 언급한 '신창타이(新常態·new normal)'를 통해 7% 성장률 목표를 공식 폐기하고 '수출·투자 중심의 고속성장'에서 '내수와 신성장동력 개발 중심의 중속 성장'으로 성장 노정을 변경했다.

반면 중국의 최종 소비재 수입 규모는 지난해 기준 1576억 달러로 10%를 돌파했다. 이 때문에 중국 내 소비수준 제고에 주목해 한국산 최종소비재 진출을 통해 대중 수출 전략을 재편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코트라 관계자는 "그동안 중국의 수입 관세가 높아 수출이 어려웠던 소비재 수출을 시도하거나 중간제품 수출을 완제품 수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통관, 상호인증, 라벨링 등의 비관세 장벽 분야 개선 사항을 활용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승관 국제무역연구원 무역동향분석실장은 "중국 시장에 대해 호흡을 길게 보고 유럽 등과 경쟁을 통해 소비재의 브랜드화, 고급 소비재 등의 산업 육성에 나서야 한다"며 "이를 통해 중국이 따라올 수 없는 신산업 아이템을 발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