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뉴욕 유엔본부서 첫 제주4·3 조명…"미, 진실규명 동참해야"

입력 2019-06-21 09:33

제주4·3 유엔 인권 심포지엄…당시 미군정 책임론 잇단 거론
희생자 유족 고완순씨 "지옥같은 그날, 지금도 선명" 증언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제주4·3 유엔 인권 심포지엄…당시 미군정 책임론 잇단 거론
희생자 유족 고완순씨 "지옥같은 그날, 지금도 선명" 증언

뉴욕 유엔본부서 첫 제주4·3 조명…"미, 진실규명 동참해야"

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4·3'의 아픔을 되새기고 인권적 의미를 조명하는 행사가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렸다.

20일(현지시간) 오후 유엔본부에서는 '제주4·3의 진실, 책임 그리고 화해'라는 제목의 인권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200명에 가까운 참석자들이 행사장을 가득 채웠다.

유엔주재 한국대표부가 주최하고 제주특별자치도, 강창일 국회의원실, 제주4·3평화재단이 공동주관했다. 자료 영상과 기조 발제, 패널 토론, 유족 증언 순으로 3시간가량 진행됐다.

올해로 71년째인 제주4·3을 다루는 토론회가 뉴욕 맨해튼 한복판에서 개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런 만큼 한국 정부뿐만 아니라, 당시 미군정 공동 책임론이 잇따라 거론됐다.

천주교 제주교구 강우일 주교가 기조 발제를 맡았다.

강 주교는 "제주4·3은 미국과 한국의 정부 당국이 저지른 인권과 인간 생명에 대한 대대적인 위반이자 범죄였다"면서 "이번 심포지엄의 목적은 희생자와 유가족의 고통, 희생의 역사를 처음으로 국제사회에 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전문가인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석좌교수, 퓰리처상 수상자인 찰스 헨리 전 AP통신 편집부국장, 유엔인권이사회 강제실종위원인 백태웅 하와이대 교수 등이 패널토론에 참여했다. 박명림 연세대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커밍스 교수는 "잔혹한 대학살이 어떻게 제주에서 일어날 수 있는가에 대해 미국은 답변해야 한다"며 당시 미군정의 책임론을 비중 있게 거론했다.

헨리 전 부국장은 "당시 서울에 특파원을 뒀던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는 4월 3일부터 몇 달간 총 30~40차례 보도했지만 철저하게 냉전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면서 "특히 미군과 전혀 무관하다는 식으로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고 지적했다.

백태웅 교수는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 미군 작전 당사자들이 어떤 형태로든 포괄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면서 "광범위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해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4·3 당시 조천읍 북촌 학살사건 유족인 고완순씨는 "죽음의 공포 앞에서 눈부시게 반짝거렸던 붉은 피가 너무나 선명하다. 여든을 바라보는 할머니가 되어버린 지금도 눈을 감으면 지옥 같던 그 날이 마치 어제처럼 떠오른다"며 울먹이는 목소리로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세 살배기 남동생 등 일가족 6명을 잃은 고씨는 "제주4·3은 미군정 기간 제주 주민들에게 가해진 인권유린·학살 사건"이라며 "평화와 인권이라는 유엔의 설립 취지에 맞게 미국이 진실 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주기를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