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정규직 원칙'과 거리 먼 서울대…피켓 든 교직원·학생들

입력 2019-03-19 09:25 수정 2019-03-19 13:0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공공기관 서울대학교에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모두 전환한다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대측은 단과대 등에서 고용한 자체 직원들에 대해서는 강제를 할 수 없다고 하고 있는데요, 대책을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오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조국의 미래를 보려면 관악을 보라고 했습니다. 조국의 미래는 비정규직입니다.]

서울대학교 직원들과 학생들이 피켓을 들었습니다.

1년 중 상시업무를 9달 이상 계속하고 2년 이상 지속될 업무를 맡으면 정규직으로 바뀌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입니다.

서울대 글로벌사회공헌단은 학생들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맡고 있습니다.

그런데 직원 21명 중 14명이 계약직입니다.

단장인 교수와 일부 법인 직원 외에는 모두 2년이 지나면 떠나야 합니다.

[글로벌사회공헌단 관계자 : (계약) 만료가 돼서 나가버리고 새로운 선생님하고 한 달 준비하고 (사회공헌) 활동을 나간 적이 있었어요.]

꾸준히 지속되는 업무특성상 경험이 중요하지만 채용과 퇴직이 늘 반복됩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언어교육원 강사 39명은 6개월마다 계약서를 씁니다.

시간강사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하루종일 업무를 보는데다 출강도 어려워, 정부도 이들이 시간강사가 아니라고 결론 내린 바 있습니다.

서울대측은 단과대나 연구소에서 고용한 '자체직원'들은 기관의 독립성 때문에 정규직 전환을 강제할 수 없었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이달안에 정규직 전환심의위원회를 꾸려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최석헌)

관련기사

무늬만 정규직? 자회사 채용 후에도 열악한 근무환경 여전 [이슈플러스] 개정 강사법 역풍…대학가는 지금 정리해고중 '5명 복직' 타결…파인텍 노동자들, 425일 만에 땅으로 해외 파견 노동자, 보험 없이 일하다 '추락'…책임은? 31년 만에 '최저임금 결정방식' 변경 추진…노동계 반발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