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말도 생각도 세상도 변한다…'우리말 사전'으로 본 100년

입력 2019-02-17 21:11 수정 2019-02-17 23:5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도련님'이나 '아가씨' 같이 남편 쪽만 높여 부르는 호칭을 정부가 바로잡는다는 내용, 얼마 전 전해드렸죠. 이렇게 말도 시대에 따라 변하는데, 그 말을 담아온 사전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얼마 전 '말모이'라는 영화도 나왔지만 100년이 넘는 우리 사전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회도 열리고 있습니다.

권근영 기자입니다.

[기자]

"사랑을 했다. 우리가 만나…"
- 아이콘 '사랑을 했다'

대중문화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 '사랑'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속 '사랑'의 뜻도 몇 차례 수정됐습니다.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 영화 '봄날은 간다'

처음에는 '남녀 간의 좋아하는 마음'이라는 뜻풀이였다가 지금은 어떤 대상을 떠나 '아끼고 소중히 여긴다'는 기본 가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높임말이었던 '장님', '여성'과 같은 표현이던 '계집'은 지금은 써서는 안 되는 낮춤말이 됐습니다. 

사랑, 장님, 계집.

말은 죄가 없습니다.

말하는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을 뿐입니다.

1910년대 주시경 선생이 만든 원고 '말모이'에서 시작된 우리말 사전.

"이게 다 뭐예요?" "이게 다 말이죠. 여기까지 오는 데 10년 걸렸습니다."
- 영화 '말모이'

40년 가까운 일제의 식민 통치로 없어질 뻔한 말과 글을 그렇게 지켰습니다.

말을 모아온 사전도 시대와 함께 달라졌습니다.

두껍고 커다란 종이책으로 집집마다 한 두 권씩 소장하던 그 사전, 지금은 인터넷 사전을 먼저 떠올립니다.  

말이 시대상을 반영하듯, 사전 역시 그 안에 어떤 말, 어떤 뜻을 담아야 할지 변화를 요구받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성차별적인 말이 여전하고, '이주노동자' 같이 우리 사회 속 새롭게 등장한 사람들과 관련된 말은 아직 등록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이어집니다.

(영상디자인 : 곽세미)

관련기사

'시대의 어른'이자 약자의 벗…김수환 추기경 10주기 독립운동가 이상재 선생 외교자료, 130년 만에 세상 밖으로 그래미 시상자로 선 BTS…미 3대 음악 시상식 모두 입성 '극한직업' 1000만 관객 돌파…류승룡, 4번째 '천만 영화' "잘 살았어, 잘 견뎠어" 늦게 배운 한글로 쓰는 '인생 시'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