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1월 처리까지 갈 길 급한 '선거제 개편'…남은 쟁점은?

입력 2018-12-15 20:24 수정 2018-12-15 22:33

'연동형 비례' 정당 득표율 따라 의석수 배분

민주당에도 '불리'…한국당 '일단 검토' 입장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연동형 비례' 정당 득표율 따라 의석수 배분

민주당에도 '불리'…한국당 '일단 검토' 입장

[앵커]

오늘(15일)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내용 좀 복잡하기는 하지만 상당히 중요한 내용입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나한 기자, 일단 현재 합의안은 6개 항이고요. 적극 검토한다는 내용입니다. 결정된 건 아니고, 그러면 지금 제도부터 한번 살펴봐야 될 텐데, 현재는 지역구 의원은 뽑으면서 또 비례대표를 별도로 뽑는 방식으로 요약을 해 볼 수 있겠죠.
[기자]

맞습니다. 현행 선거제도는 지역구 254명을 뽑고 나머지 46명은 정당 득표율에 따라서 비례대표로 채우는 방식입니다.

지역구를 뽑는 방식이 정당 득표율과는 관계가 없이 한 표라도 앞서면 당선이 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승자독식인데다 사표를 많이 만든다는 지적이 있어 왔습니다.

[앵커]

그럼 검토를 하겠다고 하기는 했지만 연동형으로 만약에 바뀌게 되면 어떻게 되는 겁니까?

[기자]

일단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각 정당의 득표율에 따라서 의석수가 배분됩니다.

만약에 각 정당이 가져갈 의석수가 결정이 되면, 지역구 당선자들이 일단 이 의석수를 채우고 만약 A라는 정당이 지역구 의석만으로는 이 전체 의석수를 채우지 못해도 비례대표로 남은 의석을 채워주는 겁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면 국회의원 300명을 전제로 할 때 A라는 정당이 정당득표율이 20%면 의석은 60석입니다.

그런데 이 당이 지역구에서는 40석을 얻었다면 나머지 20명의 비례대표를 더 주는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기자]

소선거구제 하에서 정당 득표율에 비해 지역구 의원이 적은 소수정당에는 유리하지만 반대로 다수당에는 불리합니다.

그래서 민주당에서는 이 연동형을 권역별로, 그러니까 전국을 6개의 권역으로 나눠서 도입하자고 주장하기도 했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조금 좀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텐데요. 그러니까 쉽게 설명을 하면 예를 들어 어떤 정당이 정당 득표율. 정당득표에서 20%를 얻었다 그러면 그 정당은 60석 정도는 가져갈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정당이니 지역구 당선자가 몇 명이 되든지 간에 40석이 되든지 30석이 되든지 간에 60석을 채워주겠다. 이렇게 이해를 해 볼 수 있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앵커]

당연히 그렇다 그러면 소수정당에는 지역구 선거에 유리한 후보를 내기 힘든 소수정당 입장에서는 조금 유리하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네요. 지금 1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를 하기로 합의를 했습니다. 검토를 하기로 했고. 그런데 갈 길이 쉽지는 않다고 하죠.

[기자]

그렇습니다. 쟁점이 워낙 많아서 실제 처리까지는 좀 지켜봐야 합니다.

가장 큰 쟁점이 의원 정수 확대입니다. 이 제도 같은 경우는 비례대표 의원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총 의원수를 300명으로 유지하고 도입하면 지역구 의원은 줄어들게 됩니다.

현역의원들의 반발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겁니다.

그래서 앞서 정개특위는 의원 정수를 지금보다 10% 많은 330명까지 늘리자는 방안을 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의원 숫자를 늘리는 것은 또 국민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야3당은 국회의원 숫자를 늘리는 대신 혜택은 줄이자는 방안을 내기도 했습니다.

[앵커]

앞서 김나한 기자가 이야기하기도 했지만 다수당, 그러니까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에는 다소 불리할 수 있는 안인 것 같습니다. 지금 두 당의 입장이 궁금하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지역구 당선자만으로도 이 의석을 다 채울 수 있는 민주당은 그렇게 긍정적인 입장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연동형이 도입되면 비례 의석을 추가로 얻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자유한국당 같은 경우도 비슷한데, 일단 나경원 원내대표의 오늘 발언을 좀 들어보시겠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저희 당은 사실 제가 원내대표 취임한 지 며칠 되지 않고 당내 사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의원님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시간이 매우 부족합니다. 사실은 제가 선거구제에 대해서 확답을 드릴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것을 열어놓고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진일보한 입장을 내놨습니다. ]

그러니까 적극 검토는 하겠지만 확답은 들을 수 없다, 이러한 입장인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 여야 합의안에 보면 개헌 논의도 있습니다.

[기자]

맞습니다. 하지만 실제 권력구조 개편까지 갖고 가자고 하면 이 선거제도 개편이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오늘 원내대표들이 선거제 개편에 합의는 했지만 사실상 이제 구체적인 논의는 막 시작됐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김나한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권력구조 개편 끄집어낸 여야…개헌논의 재점화할까 손학규·이정미, 9일만에 단식 중단…야 3당, 국회 농성 해단식 여야 '선거제 개혁법안 내년 1월 처리' 합의했지만…험로 예상 문대통령 "국회서 비례성 강화 위한 선거제 합의하면 지지할 것" 나경원 "선거제 개편·원포인트 개헌 같이해야"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