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서해 평화수역 설정 합의…완충지대 기준점엔 NLL '고려'

입력 2018-09-19 20:5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남북의 군사적인 긴장이 가장 높은 곳은 서해죠. 연평해전과 연평도 포격 사건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남북은 서해 완충지대에 더해 평화수역과 공동어로를 추가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관심을 모았던 완충지대의 기준점에는 우리 북방한계선, NLL이 우선 고려됐다는 분석입니다.

유선의 기자입니다.
 

[기자]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서해안에서는 제2연평해전과 대청해전 등이 벌어져 54명이 전사했습니다.

'한반도의 화약고'로 불렸던 이곳에 모든 사격과 훈련이 금지된 80㎞짜리 '완충지대'가 생깁니다.

중심부를 확대해보면 우리 북방한계선, NLL 바로 위 장산곶과 등산곶에는 백령도와 연평도를 겨눈 해안포가 있고, 사곶 8전대와 초도 9전대에는 함정 수십 척과 잠수함, 어뢰정이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NLL을 기준으로 우리 측 완충지대가 더 넓어 손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단순히 면적만 보면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김동엽/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완충지대에) 명시적으로 NLL을 기준으로 했다고 드러나진 않지만 구역의 지리적인 특성상 상당 부분 NLL을 고려해서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외롭게 떠 있는 우리 백령도와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를 북쪽에서 포위하듯 감싸고 있는 서북도서 지형을 감안해야 한다는겁니다.

국방부 당국자도 서해에는 북한 함정이 6배 가량 많기 때문에 함께 병력을 물리는 것이 손해가 아니고, 동해까지 고려하면 NLL 기준 완충지대 면적은 남북이 비슷하다고 말했습니다.

남북은 서해 NLL 일대에 평화수역과 시범 공동어로구역도 만들기로 했습니다.

충돌 위험을 막는 것을 넘어 중국 어선의 침범에 시달렸던 황금어장을 함께 쓰도록 제도화하자는 겁니다.

구체적 기준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제의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가 기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디자인 : 최석헌)

관련기사

[평양공동선언]'전쟁위험 해소' 주춧돌 섰다…모든 공간서 적대중지 [평양공동선언] 한반도 화약고 서해 NLL…민족의 '황금어장' 되나 송영무·노광철, 판문점선언이행 군사분야합의서 서명·교환 '서해 평화수역' 놓고 밤샘 협상…남북 견해차 큰 듯 남북 군사실무회담, 17시간 밤샘 마라톤 협상…쟁점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