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3년 전 댓글 방식 바꾼 네이버…극심해진 '여론 조작'

입력 2018-04-20 20:31 수정 2018-04-21 03:21

누가 댓글 다나? 극소수가 휘젓는 '인터넷 여론'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누가 댓글 다나? 극소수가 휘젓는 '인터넷 여론'

[앵커]

여기서 중요하게 짚어볼 부분이 있습니다. 나는 한번도 해 본 적이 없는데 누가 과연 인터넷 기사에 댓글을 다는 걸까? 생각하신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주변에서도 댓글 열심히 다는 사람들 찾기가 쉽지 않은데 다 이유가 있습니다. 최근 한 네이버 댓글 분석 결과, 하루 이용자 1300만 명 중 댓글을 쓴 이용자는 1%도 안 되는 11만 명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에서도 집중적으로 댓글을 다는 사람은 몇 천 명 수준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극소수만 댓글을 달고 그것이 여론에 영향을 미치니 드루킹 같은 조직이 끼어들 여지가 생겼던 거죠.

네이버가 주도하는 포털 댓글의 문제점, 전영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송희경/자유한국당 의원 (2017년 국정감사) : '호감순' 같은 아주 모호한 알고리즘을 통해 댓글이 왜곡돼 버립니다.]

[이해진/네이버 창업자 : 왜 저렇게 나왔는지 가서 정확하게 따져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2015년 5월, '호감순' 댓글 기준을 기본 설정으로 바꿨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알고리즘을 공개하지 않아 논란이 됐습니다.

업계에서는 공감수에서 비공감수의 3배를 뺀 값으로 추정합니다.

즉, 비공감을 클릭한 의견에 3배의 가중치를 부여했다는 것입니다.

의도를 가진 세력이 특정 댓글을 눈 앞에서 사라질 수 있게 할수도 있습니다.

선거 국면에서 이런 방식이 쓰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여러 지적이 나오자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순공감순' 댓글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공감수에서 비공감수를 단순히 뺀 값을 기준으로 정렬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댓글 정책이 아무리 바꿔도 기술적으로 여론 조작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이준행/프로그래머 : 10년 전에는 '최신순'이었는데, 그럼 도배를 해버리면 돼요. 뭘 막아도 계속 그걸 뚫을 방법을 만든다고 하는 게 맞거든요.]

전세계 검색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한 구글은 직접적인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댓글을 달려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가야하고, 이 경우 실명제를 도입한 곳도 있습니다.

[한규섭/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댓글이) 포털의 기사 유통에 좀 더 자극적인 양념을 치기 위한 하나의 영업 수단? 내지는 그 도구화가 되어 버려서…]

우리나라의 포털 뉴스 소비율은 77%로 전세계에서 압도적인 1위입니다.

댓글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꿀 법 개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디자인 : 송민지)

 

▶여론조사◀
'인터넷 댓글 실명제' 도입,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관련기사

[탐사플러스] 댓글 공감수 늘리려…프로그램 동원 정황 [탐사플러스] 만경봉호 뜨자 포털 '댓글 전쟁'…조작 의혹도 클릭 한번에…그들이 공유한 '매크로 조작법' 영상 보니 "원하는 기능 다" 드루킹 공유한 매크로 영상 업체 가보니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