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아들 대신 'MB 장남'을…다스 중국 법인들 변화 배경은

입력 2017-10-09 20:27 수정 2017-10-27 15:5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아마 대부분의 분들이 다스라는 회사 이름을 처음 들은 건 10년 전, 2007년 대선을 뒤흔든 BBK 사건 때일 겁니다. 다스라는 생소한 회사는 BBK라는 더 생소한 회사에 19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BBK는 이명박 당시 대선 후보 것이고 다스도 이 후보가 실소유주라 그 큰 돈을 넣은 거"란 주장이 나왔습니다. 사건의 출발점은 다스였습니다. 사건은 다소 복잡했고 확실히 밝혀진 사실은 없습니다. 현장 기자와 앞서 보신 새로운 정황들이 그래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한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박창규 기자, 이시형 씨가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중국 법인 대표로 선임됐다면 별 문제가 없는 거 아닌가요.

[기자]

네, 절차적인 문제는 전혀 없습니다.

또 내용을 봐도 적합한 사람을 맞는 자리에 선임했다고 하면 외부에서 문제를 삼기도 힘듭니다.

다만 의구심은 남습니다.

대표를 선임하는 건 주주총회입니다.

다스 최대주주는 이 전 대통령의 큰형인 이상은 회장입니다.

지분이 47.26%입니다.

84살 고령으로 후계 구도를 생각할 시기입니다.

그런데 아들 대신 1% 지분도 없는 이시형 씨를 중국 법인 대표로 선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형태의 회사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대 주주 입장에서는 중국 법인 대표 자리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기자]

다스 매출은 지난해 2조 원가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이시형 씨가 대표로 선임된 4곳 매출액은 5000억 원이 넘습니다.

최대주주 이상은 회장으로선 중국 법인 매출 비중을 보더라도 법인 대표가 누구냐의 문제는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대표가 아니라면 정부 접근권이나 자금 흐름에 관여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전문가 의견 들어보시겠습니다.

[김경률/참여연대 집행위원장(회계사) : 인사권, 자금에 대한 집행여부, 이런 것들 법인대표이사가 최종결정권을 가지기 때문에 대표이사가 누구냐 천양지차라 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래서 실소유자 따로 있는 것이 아니냐, 이명박 전 대통령이 아니냐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시형 씨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모호한 자금 흐름에 연루된 적이 있었죠.

[기자]

밝혀진 적은 없습니다. 2010년에 이 씨가 살던 집에 전세금이 6억 4000만 원이라는 게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출처가 문제됐는데요.

불과 2년 전인 2008년 이 씨가 신고한 재산은 예금 3652만 원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공직자 재산 신고를 보면 아버지인 이 전 대통령 재산은 전혀 변동이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아들에게 돈을 준 적이 없다는 겁니다. 2011년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때도 이 씨는 6억 원을 지불했습니다.

출처가 또 문제 되자 삼촌인 "이상은 회장에게 현금으로 빌렸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이 회장 부인은 "돈 준 적이 없다"고 증언해 논란이 됐습니다.

[앵커]

서로 얘기가 엇갈렸다는 얘기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찰과 특검 모두 이미 다스 실소유주는 이 전 대통령이 아니라고 결론 내리지 않았습니까. 그 때 수사가 문제가 있었다는 얘기입니까?

[기자]

검찰은 "다스 자금이 이 전 대통령에게 한 번도 흘러간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가 아니라고 판단한 주요 근거입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다스 자금이 최대 주주인 이상은 회장이나 다른 사람에게도 흘러간 적이 전혀 없다는 겁니다.

다스는 회사 설립 뒤 30년 동안 단 한번도 주주에게 배당을 한 적이 없습니다.

그동안 번 돈 2700억 원을 회사에 고스란히 쌓아두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번 2700억 원을 그대로 쌓아뒀다, 배당도 안했다, 주주들은 뭐하고 있었는지도 궁금하고. 이례적으로 보이네요.

[기자]

네, 이정도 규모 중견 회사가 배당을 하지 않는 건 매우 이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입니다.

회사의 주인이 자기 돈을 찾아가지 않고 쌓아두고만 있다는 건데요.

전문가들 가운데는 "30년 동안 쓰지도 않고, 가져가지도 않고 있으면 누군가 찾아갈 사람이 따로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를 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모든 건 가정이고 추론일 뿐입니다.

[앵커]

그렇겠죠. 이명박 전 대통령측의 반응도 나올 것 같고, 그에따른 후속취재도 필요할 것 같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다만 합리적 의구심을 갖기엔 충분한 상황이라고 정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박창규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단독] 민병주 "원세훈 지시로 추선희 직접 만났다" MB 국정원, DJ 서거 후 '노벨상 취소 청원' 모의 정황 MB 국방부도 '여권 메시지' 확산…청와대 관련성 주목 [단독] '사이버사 댓글장비' 구입에 MB 국정원 예산이… 사이버사, '댓글 공작 보고서' 등 MB청와대 직접 보고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