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칼퇴'는 힘들다…직장인 74.0% 퇴근후 업무연락 받아

입력 2016-12-22 16:05 수정 2017-02-01 13:20

업무시간 끝나고 2시간 일해도 "야근 인정 못받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업무시간 끝나고 2시간 일해도 "야근 인정 못받아"

'칼퇴'는 힘들다…직장인 74.0% 퇴근후 업무연락 받아


기업과 근로자 모두 근무혁신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정시퇴근'을 꼽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실천이 쉽지 않은 '난제'라는 사실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직장인 10명중 7명은 퇴근 후에도 업무관련 연락을 받았다. 업무시간이 끝나고 회사에 계속 남아 2시간 가까이 일을 하더라도 야근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응답률도 50%에 달해 장시간 근무관행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2일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행정자치부, 교육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전경련, 대한상의 등 경제단체, 여성경제인단체,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일·가정 양립 민관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민관협의회에서는 지난 11월14일~30일 기업 500개 및 노동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팩스,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한 기업과 근로자가 체감하는 근로관행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실태조사 분석결과, 기업(52.8%)과 근로자(53.5%) 모두 근무혁신 10대 제안 중 가장 필요한 분야로 '불필요한 야근 줄이기(정시퇴근)'를 지적했다.

근무혁신 10대 제안은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직장문화를 만들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불필요한 야근 줄이기, 퇴근 후 업무연락자제, 명확한 업무지시, 연가사용 활성화, 유연한 근무 등을 포함한다.

근무혁신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은 82.6%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정시퇴근을 위한 제도를 운영한다는 기업이 7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럼에도 가장 잘 실천되는 항목(56.3%)과 실천되지 않는 항목(40.5%) 모두 정시퇴근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과 근로자가 모두 정시퇴근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근무혁신제도를 도입했지만, 정작 현장에서 '칼퇴근'은 실천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근로시간이 끝나고 30분 이후 2시간 이내에 퇴근하면 야근으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근로자 비율은 50.2%에 달해 장시간 근로가 관성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 후 업무연락을 받은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74.0%에 달했다.

퇴근후 연락이유로는 ▲급한 업무처리로 인한 업무연락(42.2%) ▲관행화된 장시간 근로에 기인한 업무연락(55.4%) ▲생각났을 때 지시해야 마음이 편해서(30.3%) ▲퇴근시간 후 외부기관·상사 등의 무리한 자료 요청(17.9%) ▲직원이 회사에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7.2%) 등으로 나타났다.

초과근로 단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요인으로 근로자는 '사내눈치법 등 직장 내 문화개선(23.4%)'을 꼽았고, 기업 인사담당자는 CEO의 관심(33.3%), 업무량의 조정(27.9%)을 꼽았다.

상급자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30.4%)과 노력(29.0%)이 저조하고, 일·가정 양립 제도 활용으로 사내눈치(41.11%), 직장내 괴롭힘도 발생(20.0%)하는 등 일하는 문화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뉴시스)
광고

관련키워드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