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서울시 '근로자 이사제' 도입 논란…재계, 강력 반발

입력 2016-05-10 21:3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노동자가 회사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근로자 이사제'를 서울시가 15개 산하기관에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투명성을 높이고 노사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자는 취지인데, 재계에서는 경영권 침해 소지가 크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유정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가 밝힌 근로자이사제 도입 대상은 서울메트로, 도시철도공사, 시설관리공단 등 15개 지방공사와 공단, 출연기관입니다.

근로자 300명 이상은 2명, 그 미만은 1명을 근로자 대표로 임명해 이사회에 참여시키겠다는 겁니다.

임기 3년의 무보수 비상임 이사지만 사업계획 수립, 예산 등 인사권을 제외한 주요 경영사항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현행법상 이사는 경영 쪽을 대표해야 하므로 임명되면 노조에서 탈퇴해야 합니다.

[이주희 교수/이화여대 사회학과 : (회사는) 정보를 공유하고 더 투명하게 경영하고, (근로자는) 어떤 일이 전개되는지 알 권리도 있고요. 더 많은 정보를 알게 되면 더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법적 근거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 서울시는 출연기관의 운영은 지자체의 조례로 정하도록 돼 있는 지방자치법 9조에 따라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재계에서는 우려와 반발이 큽니다. 이사회에서 노사 간 대립으로 효율적 결정이 어려워지고 자칫 노사 간 야합으로 경영이 더 방만해지는 등 공기업 개혁에 걸림돌이 된다는 겁니다.

[김동욱 기획홍보본부장/한국경영자총연합회 : 근로자들이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이 있습니다. 노사협의회나 다른 제도화된 기구를 통해 의사 전달을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속내는 공기업에서 시작된 불똥이 민간기업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미 유럽에서는 시행하고 있는 제도고, 사외이사 등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제도가 있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민감한 경영관련 자료를 근로자 대표에게 공개하는 부담을 안게 되기 때문입니다.

관련기사

노동절 맞아 전국 곳곳 도심 집회…노동법 개정 비판 첫달 수업료 '꿀꺽'에 '먹튀'까지…과외 중개료 실태 구멍난 생계, 극단적 선택까지…사회적 문제로 번져 일자리 '양' 늘리기 급급…고용 '질'은 오히려 떨어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