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청와대 회동…당청 관계, 갈등국면서 '대화합'까지

입력 2015-07-16 14:2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청와대 회동…당청 관계, 갈등국면서 '대화합'까지


청와대 회동…당청 관계, 갈등국면서 '대화합'까지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지도부가 16일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회동을 마무리, 당청관계의 정상화가 이뤄졌다.

이번 회동을 계기로 지난 2월2일 비박(비 박근혜)계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친박(친 박근혜)계 이주영 의원을 누르고 원내사령탑이 된 후 크고 작은 갈등을 빚어온 당청관계가 완전히 회복됐다는 평가다.

새누리당 원내대표에 유 전 대표가 당선되면서 부터 당청 간, 친박-비박계간 갈등은 어느 정도 예고된 측면이 있다.

유 전 원내대표는 당시 경선에 출마하며 "당을 정치의 중심에, 국정 운영의 중심에 두고 과감하게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당청 관계의 중심을 당으로 옮겨올 것임을 분명히 한 바 있다.

그는 특히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정부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올 초 정국을 달군 연말정산 파동과 증세 논란, 건강보험료 개편 번복 등 오락가락하는 정부 정책을 그냥 지나치지 않을 것이란 의지를 표명했다.

박 대통령은 야당 뿐만 아니라 유 전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여권 일각에서도 자신의 대선공약인 '증세없는 복지' 기조를 흔들자 지난 2월9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우리가 할 도리를 했느냐", "국민에게 할 수 있는 소리냐", "국민을 배신하는 것 아니냐" 등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줄기차게 '부자감세 철회'를 주장해 온 야당 뿐만 아니라 비주류 지도부 선출을 계기로 복지 구조조정과 증세 필요성이 여당 내에서까지 제기되는데 대한 불쾌감을 강하게 드러낸 것이다.

유 전 원내대표는 청와대 및 정부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도입 문제를 둘러싸고도 갈등을 빚었다.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보수 성향을 보이던 유 전 원내대표는 정부가 사드 문제에 관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하자 사드 공론화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공론화 과정 속에서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가 열렸지만 청와대와 정부의 제동으로 사드 도입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청와대 정무특보인 친박계 윤상현 의원은 유 전 원내대표가 사드 배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를 개최할 것이란 소식을 접하자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며 청와대의 언짢은 기류를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유 전 원내대표는 이 같은 청와대의 제동에도 지난 4월1일 의총을 개최했고, 당내 의원들은 사드 배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을 하면서도 각론에 있어서는 이견을 보였다.

유 전 원내대표는 이후 원내대표 취임 후 첫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표명하며 세금·복지 문제에 대해 '중부담-중복지'를 다시 한번 부각 시켰다.

'파격적'이라고 평가받은 유 전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두고 친박계는 "당내 조율도 마치지 않은 사안에 대해 언급을 한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력 반발하기도 했다.

이후 유 전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의 제1호 개혁과제인 공무원연금 개혁 협상에 나서 사회적 대타협기구를 통한 개혁안 처리에는 성공했지만 이 과정에서 결국 대통령 거부권이 행사된 국회법 개정안을 함께 처리하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박 대통령은 국회법 개정안 처리 직후부터 불쾌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고, 급기야 지난 6월25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배신의 정치'를 언급하며 유 전 원내대표에 대한 사실상 '불신임'을 선언했다.

유 전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에게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사퇴는 거부해오다 결국 의원총회에서 '사퇴 권고' 결정이 내려지자 자진 사퇴를 선언했다.

이후 새누리당은 계파색이 옅은 신임 원내지도부 선출을 완료했고,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회동'으로 화답하면서 여권 내 갈등은 봉합, 당청 관계의 정상화가 이뤄지게 됐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